한나라 '당헌당규 개정' 급부상

"親李 ""당청일치 더 강화를"" VS 쇄신-親朴 ""당청분리 확실해야"""

고하승

| 2010-07-05 16:36:21

[시민일보] 7.14 한나라당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대표 경선에 나선 쇄신파 김성식 의원은 5일 “청와대의 지시나 받아서 하는 구체제가 아니라 당이 중심이 되는 체제를 만들어보자”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제는 ‘청와대의 하청 정당’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김의원의 주장에 대해 당내 친이계는 이견을 보이고 있다.

오히려 당청분리 원칙인 현행 당헌당규를 개정해 당청일치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실제 친이 직계 안상수 의원은 이날 CBS 와의 인터뷰에서 “당청분리가 아니라 당청조화만이 정권재창출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청이 분리되면 효과적인 국정을 수행할 수 없다. 예를 들면 과거에 김영삼 정부 때 이회창 후보가 김영삼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를 했다. 그렇게 해서 서로 너무나 엇박자를 가져왔기 때문에 정권재창출에 실패했고, 또 노무현 정부 시절에서 당청분리하고, 탈당요구하고 시끄러웠다. 그렇게 해서 정권재창출에 실패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그는 ‘일각에서는 대통령이 탈당을 해서 중립을 지키는 게 좋지 않겠냐'는 주장도 있다는 사회자의 지적에 “그렇게 해서 정권재창출에 성공한 정부가 하나도 없다”고 일축했다.

이에 앞서 범친이계 홍준표 의원도 당청일치를 강조한바 있다.


홍 의원은 전날 광주를 방문한 자리에서 “당청관계 일체화를 위해 대통령의 당직 금지를 규정하고 있는 당헌당규를 개정 하겠다”며 “당과 청와대가 따로 노는 것은 옳지 않다. 레임덕 없이 이명박 정부를 성공시키고 정권 재창출을 위해 대통령에 대한 당 상임고문 취임요청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직선제 4명의 대통령이 임기 말 레임덕 현상을 겪으며 탈당을 하고 출당을 요구 받는 등 ‘배신의 악순환’을 겪어왔다. 불행한 사태는 끊어야 한다”며 “대통령의 당직 금지 조항은 한나라당이 야당시절 경선이후 당이 깨지는 것을 막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여당에서 대통령은 실질적 영향을 가질 수밖에 없는데 당에서 멀어져 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당내 친박계 모 의원은 “"박 전 대표가 혁신안을 만들 때 당시 홍준표 혁신위원장이 한 자(字)도 고칠 수 없다고 해서 원안 그대로 받았는데, 세상이 바뀌었다고 자기들 입맛대로 고친다면 그것이 무슨 당헌이고 당규냐”며 “당헌당규만 제대로 지켜졌더라도 지방선거에서 참패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그는 “지금 시점에서 필요한 것은 당청일치가 아니라 당청분리를 더욱 확실하게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