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李-親朴 ‘개헌 의총’ 충돌 예고

“무조건 미루면 안돼” “국민적 공감대 필요” 설전

관리자

| 2011-01-05 18:18:00

[시민일보] 안상수 대표와 김무성 원내대표, 장두언 최고위원 등 친이계 한나라당 지도부가 이달 말 ‘개헌 의총’을 소집키로 함에 따라 친박계와의 정면충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5일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친이계와 친박계가 개헌문제를 놓고 격론을 벌였다.


안상수 대표는 “구제역이 진정되는 시기가 되면 이달 중순에서 말 사이에 의총을 열어 (개헌을)논의하겠다”며 “구체적 내용과 날짜는 원내대표가 결정하라”고 ‘개헌의총’의사 강행을 분명히 했고, 김무성 원내대표는 “이달 말 의총을 소집할 것”이라며 개헌 의총을 기정사실화했다.


특히 김 원내대표는 “대통령제는 실패한 제도라고 생각한다. 5명의 전임 대통령이 말년이 불행했다. 당에서 축출당했다. 현행 대통령제가 실패했다는 것은 역사가 증명한다”고 개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의원의 이같은 발언은 분권형 대통령제와 연계된 4년 중임제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정두언 최고위원도 “개헌은 당내에서부터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며 “밖에서 논의를 시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가급적 의총을 열어 논의하자”고 가세했다.


앞서 친박계인 이경재 의원은 안상수 대표가 지난 3일 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와의 비공개 회동에서 개헌 문제에 대해 논의한 것과 관련 “당내에서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는데 순서가 잘못됐다”며 “개헌은 당위성과 일반론으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국민적 공감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친이계인 정의화 국회부의장이 “상생 정치로 바꾸기 위해서는 대통령에게 과도하게 권력이 집중된 구조를 바꿔야 한다”며 “진정 우리나라 미래를 생각한다면 (개헌을) 무조건 뒤로 미뤄서는 안되며 생산적이고 신뢰받는 국회를 위해 ‘명목달총’(사방으로 눈을 밝히고 잘 들리도록 한다)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반박하는 등 개헌론을 둘러싸고 친이명박, 친박근혜계간 중진들이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이날 친박 서병수 최고위원은 “제왕적 대통제의 폐해를 지적했지만 정치란 사람이 운영하는 것인데 운영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며 “법대로 운영한다면 문제없다”고 분권형 개헌에 제동을 걸었다.


특히 그는 “개헌 논의는 모든 것을 덮어버릴 수 있다. 이 시기에 개헌을 논의해야 하는지 생각해봐야 한다”며 “정치권 일부 인사들이 개헌 논의를 촉발시키고 있다는 국민들의 시각도 있다”고 논의 자체를 반대했다.


앞서 안상수 대표는 지난 3일 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와 만나 “개헌논의를 시작하자”고 사실상 합의한 바 있으며,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최근 “먼저 한나라당의 통일된 개헌안부터 제시하라”고 지적한 바 있다.


한편 최근 이재오 특임 장관은 개헌안과 관련, 4년 중임제와 연계한 분권형제를 제안했고, 한나라당 친이계는 대체로 이런 방향에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으나, 친박계는 4년 중임제를 바라지만 개헌논의 자체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이다.


같은 날 민주당은 한나라당의 ‘개헌의총’ 방침에 대해 “개헌이 지금 구제역보다 급한가”라며 “안 대표는 정신 차리기를 바란다”고 비난했다.


차영 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개헌에 관해서는 한나라당 본인들의 의견부터 통합하라”며 특히 “대표로서 한나라당도 잘 거느리지 못하면서 왜 민주당 이야기를 하는가”라고 공격했다.


앞서 안 대표는 전날 한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민주당 쪽에서도 김원기 전 국회의장 등 원로를 비롯해서 개헌에 찬성하는 분들이 많이 계신다”며 “의외로 개헌문제가 잘 풀려 나갈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