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국정지지율 '위험 수위'

31.4%로 경고 수준··· 물가ㆍ신공항 백지화ㆍ과학벨트 논란 탓

안정섭

| 2011-04-14 16:05:00

동서리서치 김미현 소장
[시민일보]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지지도가 3월부터 급락, 국정 지지율 31.4%로 위험 경고 수준에 도달했다."
동서리처시 커뮤니케이션 연구소 김미현 소장은 13일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에 출연, "물가 문제로 인한 실망감이 반영된 결과"라며 이같이 밝혔다.

실제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지난 11일 발표한 주례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31.4%로 나타났다.

리얼미터 여론조사는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남녀 3750명, 유선전화 3000명, 휴대전화 75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6% 포인트다.

특히 김 소장은 “이러다가 지지율 30% 축이 무너지지 않을까 염려스럽다”며 “현재의 지지율은 위험 경고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이처럼 큰 폭으로 하락한 원인에 대해 김 소장은 “무엇보다도 물가문제로 인한 국민의 실망감이 국정지지도에 반영된 결과인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결정, 과학벨트 분산배치 논란 등으로 그동안 이 대통령의 버팀목이었던 영남권, 특히 대구 경북지역에서 큰 폭의 지지율 하락도 이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에 영향을 미친것 같다”며 “집권여당입장에서는 영남권에서의 지지율 하락현상이 지역정서상 일시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핵심 지지기반의 복원을 위한 대책이 필요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특히 우리 국민의 절반 가까이가 내년 4월11일 치러지는 총선 때 자기 지역 현역 국회의원을 다시 지지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힌 것도 주목할 부분이다.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8일과 9일에 전국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가운데 43.4%는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구 현역 의원이 내년 총선에 다시 출마할 경우 지지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반면 현역의원을 지지하겠다는 응답은 34.7%에 불과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다.

또 '내년 총선에서 여야 정당이 후보자를 공천할 때 현역 의원을 얼마나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라는 질문에서는 45.6%가 '50% 이상 교체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이어 40% 가량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22.4%, 30% 가량 교체해야 한다는 응답은 17.1%였다. 반면 20% 이하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4.1%로 매우 낮았다.

한편 차기 대선주자 지지도에서는 34.0%를 얻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독주가 계속되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인물이 아닌 정당을 물었을 경우에는 44.6%가 내년 대선에서 야권 단일 후보를 지지하겠다고 응답한 부분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실제 한나라당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답변은 37.6%로 야권단일후보지지 44.6%보다 7%p나 낮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김 소장은 “이 결과만 본다면 여권보다는 야권의 외연확대가 더 높아 보이는데, 이는 박근혜 전 대표의 독주 속에 여권 후보들간의 시너지효과가 야권후보들보다 낮기 때문”이라며 “향후 박 전대표가 어떻게 범여권성향의 유권자들을 아우를지 그 귀추가 매우 주목된다”고 말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