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주류-구주류, 주도권잡기 정면충돌
신주류 내부 갈등도 심각...전두언-나경원 등 비토 움직임
최민경
| 2011-05-12 15:10:00
[시민일보]한나라당 소장파 의원들이 '새로운 한나라' 모임을 44명으로 확대하며 세 확산 작업을 이어갔고 친이계 구주류 쪽에서는 자체적인 쇄신안 마련에 들어가는 등 주도권 잡기에 나서 양측의 정면충돌이 예상되고 있다.
‘새로운 한나라’서울 대표 간사를 맡고 있는 정태근 의원은 12일 “젊은 새대와 소통할 수 있는 젊고 역동적인 리더십을 갖춘 사람이 새 대표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때 친이계로 분류됐던 정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 출연, “지난 4ㆍ27 재보궐 선거에서 한나라당의 취약점으로 확인된 30~40대를 사로잡기 위해서는 MB를 넘어선 새 젊은 피의 수혈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지금 젊은 대표주자들이 (당 대표)후보 단일화를 통해 당의 지도부를 바꾸기 위한 단합을 해야 한다”며 “새로운 한나라 모임이 젊은 후보,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후보를 단합해서 낼 수 있는 노력을 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새 당 대표는 청와대와 정부를 상대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사람, 당을 보다 친 서민적으로 가져갈 수 있는 사람, 계파 간 화합을 이뤄낼 수 있는 사람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지구당 위원장을 줄 세워 당 대표가 되는 지금까지의 방식을 혁신할 필요가 있다”며 “대표 선출 뿐 아니라 주요 정책 결정과정에서도 스마트폰을 통해 평당원들의 의견을 듣고 반영해 당심이 충분히 반영되는 당헌, 당규 개정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구주류 측도 순순히 당권을 내려놓을 생각은 없어 보인다.
특히 소장파 내부의 보이지 않는 갈등도 심각하다.
당내 일각에서는 과거 친이계가 주도하는 당 지도부에 편승했던 정두언, 나경원 전 최고위원 등을 겨냥, “안상수 전 대표가 비상대책위를 구성할 때 그들이 최고위원으로서 무슨 일을 했느냐, 그들이 당의 발전을 위해 한 일이 무엇이냐”고 비토하고 있는 실정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