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전대, 7월4일 연다
당헌 개정- 전당원 두표제 등 핵심쟁점으로 부각
최민경
| 2011-05-12 15:11:00
[시민일보]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12일 여의도 당사에서 첫 회의를 열고 새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를 오는 7월 4일 열기로 했다.
배은희 당 대변인은 회의 후 브리핑에서 "서울 전당대회는 7월4일로 잠정 결정했으며 (이에 앞서) 권역별 전당대회를 할지는 추후 논의해 결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비대위는 이날 회의에서 비대위 위원 간 극심한 견해차로 당대표 선출방식에 대해서는 결정하지 못했다.
특히 대표 선출방식과 관련, 가장 큰 쟁점인 당권·대권 분리 조항에 대해 ‘개정해야 한다’는 주장과 ‘고수해야 한다’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현행 당헌당규에 따르면 차기 대선에 출마하려는 인사는 대선 1년 6개월 전에 선출직 당직에서 사퇴해야 한다는 조항 때문에 전대에 나설 수 없다.
당헌 개정론자들은 4.27 재보궐선거 패배로 물러난 지도부에서 보듯 관리형 대표 체제의 한계가 드러난 만큼 박근혜 이재오 정몽준 김문수 오세훈 등 차기 주자들이 전대에 출마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당헌 고수론자들은 제왕적 총재의 폐단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인 만큼 이를 개정하는 것은 개혁에 역행하는 것이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특히 ‘젊은 대표’를 꿈꾸는 당내 소장파들의 반발이 심하다.
또한 소장파들이 강력 요구하는 전당원 투표제와 대표·최고위원 분리선출안도 주요 쟁점사안이다.
그러나 원내 60여명과 원외 위원장 30여명 가량을 확보하고 있는 친이계는 전당원 투표제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어떤 방식으로 결정되느냐에 따라 전당대회에서 특정세력이 유리한 고지를 점령할 수도 있게 된다.
비대위는 주말 의견수렴을 거쳐 오는 16일 회의에서 산하에 3∼4개의 소위원회를 구성한 뒤 이 같은 문제들을 집중 논의키로 했다.
한편 비대위는 이날 회의에서 정의화 위원장을 포함해 13명이던 비대위원을 6명 늘려 19명으로 증원했다.
김성식 의원이 빠지는 대신 박보환 박영아 권영진 신지호 황영철 나성린 의원이 추가 선임됐고, 대전.충남지역을 대표하는 원외 인사 1명도 포함될 예정이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