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서 기립박수… 국내 후폭풍 예고
‘제자의 배신등 ‘영화 恨’ 토해낸 김기덕감독 신작 ‘아리랑’
관리자
| 2011-05-15 16:46:00
‘이단아’ 김기덕(51·사진) 감독이 각본·주연·촬영·녹음·연출·편집·제작 등을 도맡은 장편영화 ‘아리랑’이 마침내 베일을 벗었다.
김 감독이 ‘비몽’(2008) 이후 3년만에 선보이는 신작인 ‘아리랑’은 11일(이하 현지시간) 프랑스 남부 휴양도시 칸에서 개막한 ‘제64회 칸 국제 영화제’의 공식부문인 ‘주목할만한 시선’ 부문에 초청돼 13일 드뷔시관에서 공식 스크리닝됐다.
이 영화는 셀프 카메라 형식을 빌어 100분 동안 김 감독의 가슴 속에 맺혀있던 영화에의 ‘한’을 거침 없이 토해낸다. 때문에 국내 영화계에 적지 않은 후폭풍을 일으킬 조짐이다.
어느 감독 지망생을 ‘제자’로 받아들이게 된 계기, 자신과 그 제자가 함께 만든 영화 이야기, 그 제자가 자신과 새로운 작품을 만들기로 약속해놓고 ‘자본’을 따라 훌쩍 떠난 뒤 ‘메이저’의 뒷받침을 받아 스타 감독으로 떠오른 사연, 그 때문에 자신이 ‘폐인’처럼 살게 됐던 일, 그 내용이 보도된 뒤 그 제자를 감싸준 자신의 발언 등을 제자의 ‘실명’까지 거론하며 영화에 담았다.
실명의 주인이 바로 장훈 감독이다. 장 감독은 ‘빈집’(2004). ‘활’(2005) 등의 연출부를 거쳐 ‘시간’(2006)의 조감독을 맡았다. 김 감독이 제작·각본 등을 맡은 ‘영화는 영화다(2008)를 통해 장편 데뷔했다. 김 감독과 ‘풍산개’를 준비하던 중 김 감독의 곁을 떠난 뒤 송강호(44)·강동원(30) 등 스타들을 앞세운 블록버스터급 액션영화 ‘의형제’(2010)를 연출했다. 이 영화는 관객 546만명을 불러 모았다.
뉴시스가 지난해 12월19일 ‘김 감독이 한 제자에게 배신당해 폐인이 됐다’는 제하의 보도를 했을 때 김 감독은 직접 나서서 “장훈 감독과는 오래 전에 화해했다”고 해명하며 감쌌다. 하지만, ‘아리랑’에서의 김 감독의 언급으로 볼 때 당시 ‘화해’는 했어도 ‘앙금’은 해소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악역 연기를 잘한다고 평가 받는 일부 배우를 겨냥해서는 “악역을 잘한다는 것은 원래 속마음이 악하다는 것”이라고 인신공격성 발언도 서슴지 않았다.
해당 배우를 두고 김 감독의 영화에서 악역을 주로 맡은 특정 배우를 뜻한다는 주장, 최근 급증한 사이코 스릴러 물에 출연한 모 배우라는 설 등 해석이 분분하다.
이어 ‘해외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고 정부가 훈장을 주더라. 영화는 보고 주는 건가’라고 조롱했다.
김 감독은 2004년 ‘베니스국제영화제’와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각각 ‘빈집’과 ‘사마리아’로 감독상을 받았다.
그 해 문화관광부로부터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해당 발언은 영화에 한국을 깎아내리는 내용이 있는 지도 확인하지도 않은 채 국위를 선양했다며 포상하는 정부의 성과중시형 영화 정책에 대한 날선 비판이어서 역시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현지 분위기는 달랐다. 영화가 끝나자 관객들은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작 상영으로서는 이례적으로 기립박수를 치며 김 감독에게 경의을 표했다.
‘아리랑’의 국내 개봉은 미정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