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전국위, 전대룰 격전장 예고
소장파 한계 절감...요구 대부분 폐기
안은영
| 2011-06-06 11:01:00
[시민일보]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7.4 전당대회 룰에 대해 최종결론을 내렸지만, 이를 둘러싼 내부 갈등은 여전하다.
특히 7일 열리는 한나라당의 상임전국위와 전국위는 전대 룰 개정을 둘러싼 최후의 격전장이 될 전망이다.
비대위가 마련한 전대룰은 100명 이내로 구성된 상임전국위의 심의·의결을 거쳐 1000명 이내로 꾸려진 전국위를 차례로 통과해야만 확정된다.
하지만 쉽지 않아 보인다.
우선 비대위가 당대표 경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반영하지 않고, 기존 ‘1인2표’를 ‘1인1표’ 방식으로 변경한 것과 ‘여론조사 폐지’를 결정한 것에 대해 당내 소장파와 유력당권주자인 홍준표 전 최고위원 등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
홍 전 최고위원은 “여론조사 폐지와 1인1표제를 도입한 비대위 결정은 반개혁적이자 시대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특히 특정세력이 당권을 장악, 내년 대선후보 경선에서 민의에 배치되는 후보를 뽑으려는 장기적 포석이 아닌지 의구심마저 든다”고 맹비난했다.
당내 초선의원 모임인 ‘민본21’도 “전당대회를 계파·조직 과시대회, 조직 줄세우기로 전락시킬 결정”이라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한나라당 쇄신모임인 `새로운 한나라'도 당 비상대책위원회의 결정에 반대한다며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했다.
실제 새로운 한나라 소속 의원 18명의 명의로 황우여 원내대표에게 의총 소집을 요구함에 따라 황 원내대표는 7일 오전 8시30분에 의총을 열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의화 비대위원장도 전당대회 경선룰을 결정하는 전국위원회(7일 오후 예정)를 개최하기 전에 의원총회를 여는데 동의했고 의총에서 비대위 결정과정을 설명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7일 의총 역시 전대룰 을 둘러싼 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편 이번 전대 룰 개정에서 한나라당 신주류로 급부상한 소장파의 한계가 드러났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소장파들은 대표와 최고위원 분리 선출을 강력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박근혜 전 대표가 필요성을 인정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친이계 역시 호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홍준표-김무성 등 당내 중진들의 견제가 만만치 않았다.
또 여론조사 폐지 문제도 나경원-남경필 등 비교적 대중적 인지도를 갖춘 소장파 당권주자들에게는 크게 손해를 보는 요인이다.
소장파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진 것은 겨우 전당대회 참여 대의원을 1만명에서 21만명으로 늘린 것뿐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