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지도부, 대북정책 미묘한 시각차

최민경

| 2011-07-25 11:32:00

[시민일보]한나라당 지도부에서 남북관계 설정에 대한 미묘한 시각차가 감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당 내부에서 대북정책을 둘러싼 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남북한 간 첫 비핵화 회담 개최로 남북관계의 변화 가능성이 예측되고 있는 가운데, 한나라당 최고위원들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일단 최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남북한 비핵화 회담 개최에 대해서는 이구동성으로 긍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하지만 북한의 천안함, 연평도 사태 사과 문제와 관련해서는 미묘한 견해차가 나타났다.
황우여 원내대표는 "남북 비핵화 관련 논의가 시작된 것을 환영한다"면서도 "북한은 천안한 사태와 연평도 포격에 대한 충분한 사과를 함으로써 이번 회담이 실질적 성과가 있도록 뒷받침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그는 또 "이번 비핵화 회담이 북미회담으로 가기 위한 북한의 절차적 단계로 끝나지 않았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유승민 최고위원도 "이명박 대통령과 정부의 (남북대화에 관한) 입장이 무엇인지 국민에게 반드시 밝히고 넘어가야 할 시점"이라며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에 대해 더 이상 사과를 요구하지 않기로 한 것인지, 여전히 사과 전제가 유효한 것인지 분명히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우리 국민은 남북 당사자간 대화와 6자회담 등 국제적 관계를 위한 대화를 구분할 방법이 없다"며 "임기 말에 성과를 위한 정상회담, 단순히 대화를 위한 대화 등 정치적 목적으로 일이 추진 돼서는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나경원 최고위원은 "북한의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에 대한 사과라는 (남북대화의) 원칙은 매우 중요하고, 그 원칙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며 "남북대화는 원칙을 실현시키기 위한 대화가 돼야 하고, 그런 대화는 적극적으로 찬성한다"고 밝혔다.

남경필 최고위원은 "어느 누구도 천안함, 연평도 사건에 대한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 없이 어물쩍 넘어가는 것에는 동의하지 않는다"면서도 "남북관계가 계속 경색국면으로 가면 안 되고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에 많은 국민들이 동의하고 있다. 대북정책의 방향전환이 필요한 시점이 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앞으로 이 대통령이 8·15 광복절 경축사에 담을 남북관계 변화방향이 굉장히 중요하다"면서 "당·정·청 관계에서의 '당 선도론'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당이 남북관계 발전에 대해 당이 긴밀하게 상의하고 방향설정에 대해 청와대에 강력하게 요구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한편 우니라 국민 3명 중 2명은 정부의 대북정책이 '대화를 통한 협력 모색'으로 가야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평화문제연구소(이사장 현경대)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지난 6월 15일부터 17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국민 1008명을 대상으로 통일의식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정부의 대북정책과 관련 '대화를 통해 협력을 모색해야 한다'고 응답한 이가 전체의 67.6%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북한을 압박해야 한다는 응답은 27.9%에 그쳤다.

하지만 응답자 중 다수는 지난해 천안함·연평도 사건과 관련 북한에 사과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추가 도발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79.4%가 남북관계 정상화와 북핵 6자회담 재개를 위해서는 천안함·연평도 사건에 대한 북한의 사과 및 재발방지 약속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 45.4%는 1년 내로 북한이 군사적 도발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답했다. 도발하지 않을 것으로 보는 응답자는 24.3%에 그쳤다.

이번 설문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