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통합, 산 넘어 산

민노-진보 통합협상 고비...민주당도 주류-비주류 갈등

관리자

| 2011-08-07 13:07:00

내년 총선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야권이 통합논의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쉽지 않을 전망이다.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의 이른바 `진보 소통합' 협상이 고비를 맞고 있는가하면, 민주당도 주류와 비주류의 갈등이 심각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우선 민노당과 진보신당은 오는 11일을 통합 협상의 시한으로 정해놨지만 유시민 대표가 이끄는 국민참여당의 합류 문제를 놓고 양당이 갈등을 빚고 있다.

민노당 이정희 대표는 참여당과의 통합문제를 긍정적으로 검토하자는 입장인 반면 진보신당은 참여당이 통합의 대상이 아니라고 못박은 상태다.

심지어 진보신 측은 "진보신당과 참여당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사실상의 최후통첩장을 민노당에 보냈다.

특히 민노당 이 대표와 참여당 유 대표가 지난달 14일에 이어 오는 9일 광주에서 대담집 `미래의 진보'의 두 번째 출판기념회를 갖는 것도 진보신당의 심기를 거스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진보신당 일각에서는 자신들과의 통합 논의 중단을 위한 수순이 아니냐는 의구심마저 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야권 대통합'을 주창한 민주당은 일단 민노당과 진보신당의 소통합 논의를 지켜보자며 통합에 속도를 내지 않고 있는 상태다.

더구나 민주당은 내년 총선과 대선을 이끌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시기를 놓고 주류와 비주류 측이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마당이어서 통합논의에 탄력이 붙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실제 당 대표와 최고위원이 대선에 출마할 경우 대선 1년 전에 사퇴하도록 한 규정에 따라 대권 주자인 손학규 대표가 오는 12월 18일 이전에 대표직을 내놓아야 한다.

당초 이르면 10월에도 치러질 수 있다는 관측이 있었으나, 손 대표 측은 굳이 미리 사퇴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으로 선회했다.

이에 따라 12월 초순께 전당대회가 개최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야권 통합논의가 사실상 차기 당 대표에게 주어진 과제가 된 상황이어서 본격적인 통합논의 역시 12월 이후로 미뤄질 수밖에 없게 된 셈이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