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반값등록금은 이미 수년 전에 공약했던 사항인데 아직까지도 반값등록금 실현을 두고 여야가 대치돼 있다"며 "결국 실천력의 문제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청년세대가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그는 "교육이란 것은 비지니스가 아니라 국가의 책무를 띠는 것"이라며 "반값등록금은 등록금을 깎아준다는 개념이 아니라 국가가 책무성을 갖고 교육을 받고자 하는 사람에게 기본적인 권리를 주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청년실업문제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어짜피 청년이 들어갈 수 있는 일자리는 한정적"이라며 "근로시간을 단축해 근로생활의 질을 높이는 한편 줄어든 근로시간을 신규 일자리 창출로 메꿔야야 한다"고 주장했다.
청년실업해소 촉진을 위해 그는 전국 자치구 최초로 청년창업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는 청년창업지원센터에 관련된 조례가 없어 세부적으로 관리ㆍ감독하기 위한 법적근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 의원은 "반값등록금이니 청년실업문제가 해소되지 않으면 갈수록 저출산 고령화에 사회 양극화는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결국 성장은 멈추고 후퇴하게 될 것"이라며 "한국이 고성장 체계를 이룬 만큼 복지나 고용창출이 수반될 수 있도록 이제는 성장과 복지의 균형을 이뤄야 하는 시기"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게 바로 보편적 복지"라며 "보편적 복지로 나아가기 위한 초석인 반값등록금이나 청년실업문제 등이 반드시 관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