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근, “야권 소통합보다 대통합이 더 쉬워”

“연합정당은 한 지붕 다섯 가족을 얘기하는 것”

최민경

| 2011-08-23 12:04:00

[시민일보]야권대통합을 위해 시민사회 진영이 '혁신과 통합' 모임을 구성, 본격적인 활동에 나선 가운데 문성근 국민의 명령 대표가 “선거 연대보다 통합이 쉽고, 소통합보다 대통합이 쉬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성근 대표와 이해찬 시민주권 상임대표,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지난 17일 기자회견을 통해 최근 답보 상태에 놓인 야권대통합의 추진을 위해 정당간의 통합을 중재하고 압박하고 완충역할을 해 통합을 이뤄내겠다는 취지로 ‘혁신과 통합’ 모임을 구성, 활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모임 제안자 중 한 명인 문 대표는 23일 오전 BBS라디오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지금 민노당과 진보신당은 부부였는데 이혼했기 때문에 재결합 하려니까 하나하나 잘못을 따져 합의를 해야 한다. 이게 어려운 것이지만 저희가 말하는 연합정당은 한 지붕 다섯 가족을 얘기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넓게 공동 공약을 합의하고 특히 선거법 개정에 합의하고 합의하지 못하는 내용은 강제적 당론을 채택하지 않는다, 넓게 힘을 합치자는 것”이라며 “선거법 개정은 독일의 경우에는 정당 명부제를 투표해서 야당제가 허용되고 연립정부를 세울 수 있게 돼 있다. 우리도 선거법을 그렇게 고쳐낼 수만 있다면 그 후에는 분립해도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금은 선거법 개정을 공동 공약으로 걸고 힘을 합치고 성공하면 분립해도 좋다는 것을 하자는 것이기 때문에 진보 쪽 3당의 합당보다 훨씬 쉽게 이뤄질 수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김대중 대통령께서 노무현 대통령 서거 직후 유력 정치인들과의 오찬자리에서 말씀하신 게 민주당과 진보정당이 7대3 정도의 세력인데 그렇다고 30%만 내주려 하지 말고 70%를 내주는 자세로 나서야 한다고 말씀하셨다”며 “(민주당의)자세가 중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총선 때마다 영남의 경우 40%, 50% 공천 변화를 이루고 있는데 그런 전략 공천을 얼마나 혁신적으로 이룰 것인지, 얼마나 공정한 경선을 할 것인지, 또 진보 정파들의 경우 지역구에 나가서 당선 가능할 수 있는 분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비례 후보에서 얼마나 대폭적으로 할당해 줄 것인지 깊이 논의가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