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찬동 인명사전 발간
제작단, A급 이 대통령 등 60명...B급 강재섭 등 22명 발표
안은영
| 2011-09-20 16:25:00
[시민일보] 한 시민단체가 ‘4대강 사업 찬동 인사 인명사전’을 발표해 눈길을 끌고 있다.
21일 ‘MB씨 4대강 비리수첩 제작단’에 따르면, 이명박 정부는 ‘4대강 사업 그랜드 오픈’을 추진하고 있다.
10월 초에는 4대강 사업 성공을 자축하는 의미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등 ‘4대강 사업 성공 = MB정권 성공’이라며 홍보에 올인 하고 있다.
특히 MB 정권은 공사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 사고는 ‘별일 아닌 것’으로 치부해 버렸고, 앞으로 발생할 문제점도 다 해결 할 수 있다고 장담한다는 것.
그러나 제작단은 “이명박 정권이 ‘별일 아닌 것’으로 치부한 것 중에는 이 사업을 평가 할 수 있는 사안이 많다”며 “국토부 장관이 ‘개인 실수 탓’으로 치부한 4대강 사업 노동자 22 명의 사망과 법적 보호종인 멸종위기종들의 서식지 파괴 및 잇따른 집단 폐사는 이 사업이 얼마나 부실했으며, 또한 얼마나 광적으로 속도에 목을 맸는지 보여 준다”고 지적했다.
또 제작단은 “이전 초대형 태풍에도 끄떡없었던 왜관철교와 남지철교의 붕괴, 두 차례에 걸쳐 발생한 구미 단수 사태, ‘MB캐년’, ‘MB야가라’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정도의 지천 침식 및 붕괴 현상 등은 4대강 사업 부작용이 현재진행형이자 미래형이라는 것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또한 4대강 주요 지점의 외지인 토지 소유 비율이 70%가 넘었다는 언론 보도와 주요 친수지역 예정 후보지로 거론 되는 지점의 비정상적인 지가 상승 현상은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진짜 목적이 ‘투기꾼 살리기’ 임을 말해 준다”고 비난했다.
특히 제작단은 “MB 정권은 국내외 전문가와 종교계, 국내외의 시민사회 등 4대강 사업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고언을 사실이 아니라며 왜곡했다. 그러면서 ‘4대강 사업 반대=좌파’ 또는 ‘반대를 위한 반대’로 매도했다. 정부 부처 및 산하 기관과 언론과 방송을 나팔수로 동원해 우리 사회의 상식을 뒤집고 양심을 탄압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들은 “ MB 정권 기간 동안의 치러진 지방선거 및 재보궐선거에서 드러난 민심은 4대강 사업 중단이었다. 최소한 광적인 속도만이라도 우선 줄이라는 것이 국민의 요구였다. 하지만 정권은 국민의 준엄한 명령마저 듣지 않았다. 이는 4대강 사업의 또 다른 본질이 민주주의와 우리사회의 상식, 그리고 시대적 양심을 철저히 부정하는 것임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들은 “4대강 사업은 잘못된 국책사업이다. 시작부터 부실했던 4대강 사업은 제대로 된 평가조차 없이 정치적 수사만 남용되고 있다. 4대강 사업이 22조원으로 끝날 것이라 보는 국민은 많지 않다.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시장 시절에 청계천 유지관리 비용은 연간 18억 뿐이라 장담했지만, 지난 5년 간 370억의 혈세가 투입됐다. 청계천은 단 5.8Km에 불과하지만 4대강 사업은 청계천의 100배가 넘는 634Km에 달한다. 여기에 들어가는 연간 유지 관리비는 보수적으로 잡아도 1조원의 넘을 것이란 전망”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제작단은 “4대강 사업의 부실을 감추기 위해 또 다시 4대강 사업 2단계라 불리는 20 조원 규모의 지류지천 사업을 언급하고 있다. 게다가 왜관철교 붕괴 등 4대강 사업 때문에 발생한 사고 처리 비용까지 포함하면 잘못된 4대강 사업 때문에 국민의 혈세는 계속 들어갈 수밖에 없다”며 “MB씨 4대강 비리수첩 제작단이 4대강 사업 찬동 정치인을 선정해 발표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제작단 발표에 따르면, 4대강 사업 찬동 A급 정치인은 이명박 (대통령), 강만수 (전 기획재정부 장관 / 현 산은금융그룹 회장), 권도엽 (국토해양부 장관), 김황식 (국무총리),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심명필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 본부장), 유인촌 (전 문광부 장관 / 현 대통령실 문화특별보좌관), 윤증현 (전 기획재부 장관), 윤진식 (전 대통령실 정책실장 / 한나라당 국회의원), 이만의 (전 환경부 장관), 이병욱 (전 환경부 차관 / 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 임태희 (청와대 대통령 실장), 정병국 (전 문광부 장관 / 한나라당 국회의원), 정운찬 (전 국무총리 / 현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 정종환 (전 국토해양부 장관),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 / 한나라당 국회의원), 추부길 (전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 한승수 (전 국무총리) 공원식 (경북도 정무부지사), 김관용(경북도지사), 김문수 (경기도지사), 김범일 (대구시장), 김태호 (전 경남지사 / 현 한나라당 국회의원), 박맹우 (울산시장), 박준영 (전남도지사), 오세훈 (전 서울시장), 정우택 (전 충북지사 / 현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총장), 허남식 (부산시장), 공성진 (전 한나라당 국회의원), 강승규 (한나라당 국회의원), 김광림 (한나라당 국회의원), 김무성 (한나라당 국회의원), 김성조 (한나라당 국회의원), 김정권 (한나라당 국회의원), 김정훈 (한나라당 국회의원), 김형오 (전 국회의장 / 한나라당 의원), 나성린 (한나라당 국회의원), 박승환 (전 국회의원 / 현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박희태 (국회의장 / 한나라당 국회의원), 백성운 (한나라당 국회의원), 송광호 (한나라당 국회의원), 심재철 (한나라당 국회의원), 안상수 (전 한나라당 대표 / 한나라당 국회의원), 원희룡 (한나라당 국회의원), 이상득 (한나라당 국회의원), 이재오 (한나라당 국회의원), 이주영 (한나라당 국회의원), 이한성 (한나라당 국회의원), 장광근 (한나라당 국회의원), 정두언 (한나라당 국회의원),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 / 한나라당 국회의원), 정옥임 (한나라당 국회의원), 정진섭 (한나라당 국회의원), 정희수 (한나라당 국회의원), 조원진 (한나라당 국회의원), 조해진 (한나라당 국회의원), 주호영 (한나라당 국회의원), 최구식 (한나라당 의원), 최인기 (민주당 국회의원), 홍준표(한나라당 대표 / 한나라당 국회의원) 등 60명이다.
또 4대강 사업 찬동 B급 정치인은 강재섭 (전 한나라당 대표), 권경석 (한나라당 의원), 권택기 (한나라당 국회의원), 김대기 (전 문광부 차관 / 대통령 비서실 경제수석), 김석준 (전 한나라당 국회의원 / 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원장), 김영우 (한나라당 국회의원), 김재경 (한나라당 국회의원), 류우익 (전 대통령실장 / 통일부 장관 내정자), 박병원 (전 청와대 경제수석 / 미래에셋 자산운영 사회이사), 박성효 (전 대전시장), 박재순 (한나라당 국회의원), 손범규 (한나라당 국회의원), 신영수 (한나라당 국회의원), 신현국 (문경시장), 유영숙 (환경부 장관), 이달곤 (전 행안부 장관 / 현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사장), 이병석 (한나라당 국회의원), 이용걸 (전 기재부 2차관 / 국방부 차관), 장제원 (한나라당 국회의원), 정미경 (한나라당 국회의원), 정정길 (전 대통령 실장 / 현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최경환 (전 지식경제부 장관 / 한나라당 국회의원) 등 22명이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