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논술시험, 대학의 이기주의가 불러온 것"
안민석 의원, “교수들 답안지 채점 용이해져, 응시료도 어마어마”
안은영
| 2011-11-21 14:25:00
[시민일보] 최근 실시된 대학 논술시험의 높은 난이도가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 안민석 의원이 “대학의 이기주의, 탐욕주의가 문제를 어렵게 만든 것”이라고 비판했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안 의원은 21일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서울의 상위권 대학들의 경우 논술시험 잘 보면 대학갈 수 있다는 신화를 스스로 만들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현재 논술의 전형 경쟁률이 50:1 정도 이루고 있는데 일단 응시료가 어마어마한 수입이 되는 것이고, 교수들의 경우 자신들이 대학원생, 학부생들에게 냈던 문제를 채점하니까 채점이 용이해졌다”며 “이 문제를 맞힌 학생도 없고 문제 변별력이 굉장히 커져버렸다. 답을 쓴 학생들의 답안지도 교수가 대학원이나 대학생들 답안지 채점 해오던 것인데 대학들이 지나치게 이기적이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근원적으로는 이러한 대학을 자율이라는 미명으로 방치 한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이 핵심적인 문제”라고 정부의 정책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이번 논술은 로또 논술이 돼 버렸다”며 “수험생들이 자기가 읽었던 책이나 논술학원에서 (문제 내용이)나오면 그야말로 대박을 맞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름만 본고사로 붙이지 않았을 뿐이지, 이미 본고사 다름없는 효과를 대학에서 보고 있다. 인생을 걸고서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이나 학부모님들 입장에서는 거의 농락당하는 수준이나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책방안에 대해 “저희들이 어느 정도의 통제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고, 결국 교과부가 직접 개입을 해야 될 것”이라며 “수시에서 논술시험 반영비중이 지나치게 높은 문제도 시정을 해야 한다. 결국 근원적으로 대학입시체제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높여야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