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야권통합 내홍 심각

중앙위, ‘단독전대’ 요구 목소리로 파열음

안은영

| 2011-11-24 12:09:00

[시민일보] 야권통합 문제를 둘러싸고 24일 민주당이 심각한 내홍을 겪고 있다.

전날 열린 민주당 중앙위원회에서는 야권통합 방식을 놓고 밤늦게까지 고성이 오가면서 논의가 이어졌으나 아무런 결정도 내리지 못했다.

특히 통합 전당대회 추인을 받기 위해서 열린 중앙위원회에서 247명의 참석자 가운데 상당수가 ‘단독전대’를 요구하는 등 파열음만 더 커지고 말았다.

당내 유력 당권주자로 거론되고 있는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손학규 대표 등 현 지도부에서 ‘단독전대는 생략하고 야권통합전당대회로 원샷으로 가자’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통합에 반대하는 우리 민주당원은 한 사람도 없다”면서도 “그런데 지금 지도부에서 추진하는 통합의 방법은 합의가 되지 않았다. 의원총회, 상임고문단회의, 고문단회의, 두 번의 국회의원 전국지역위원장 연석회의에서 압도적으로 반대를 하고 있다. 제가 볼 때 80%~90%가 반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정치적 합의가 되면 법을 초월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구성원 간의 합의가 되지 않으면 법, 당헌당규를 철저히 준수를 해야 된다. 그렇지 않으면 나중에 불미스러운 일이 있을 수 있다. 최근에 한나라당의 중앙위원회 의장이 월권을 했다가 당원 한 사람이 법원에 가처분신청을 하니까 무효가 된 적이 있다”며 “합의가 되면 탈법 할 수 있지만 합의가 되지 않는 것은 법을 지키고 또 당헌당규를 지키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지도부에서 ‘오전에 전당대회를 열어서 야권통합에 대해서 승인을 받고 오후에 야권통합전당대회를 하자, 이러면 당헌 당규 상 문제없지 않느냐’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이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먼저 신당을 창당하고 거기에 우리 민주당이 들어가는 거다. 그리고 거기에서 지도부에 출마할 사람들이 등록을 하는데 오전에 전당대회를 열어서 1만 2000명의 대의원이 사실상 민주당을 해체하고 신당에 통합시켜주느냐, 이 결의가 우선 되어야 되는데 지금 형편으로 봐서는 그게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그 이유에 대해 박 전 원내대표는 “오전 전당대회에서 1만 2000명의 대의원이 합의가 되면 100% 동의를 해 주는데, 이렇게 합의가 안 된 상태에서는 인준이 안 된다. 그랬을 때는 창당 준비위원회에 후보를 등록하는 것이 이중당적이니까 불법이다. 또 마지막 전당대회에서 당원들이 당원의 뜻을 무시하고, 민주당이 당명을 바꿔 정체성을 변경시키면서 통합의 대상이 아닌 개인 단체를 영입하면서 어떻게 민주당을 해체하고 신당으로 가느냐”며 “그래서 만약 거기에서 부결되면 완전히 공중에 떠버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그는 ‘최악의 경우에는 이 문제로 당이 쪼개질 수도 있지 않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그렇게는 보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손학규 대표께서도 오는 27일까지 통합이 매듭지어지지 않으면 민주당 전당대회를 하겠다고 했다”며 “27일이 지나면 독자전당대회를 하겠다고 다섯 번씩이나 공언을 했기 때문에 그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손학규 대표가 우리만 창당하겠다, 그러면 이쪽에서는 우리는 민주당에 남겠다, 그런 게 아니다”라고 거듭 이 문제로 당이 분열되지는 않는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같은 날 정장선 사무총장은 SBS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에 출연, “통합 전대로 가기 위한 중앙위원들의 동의를 받기 위해서 중앙위원회가 열렸지만 지도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이른바 원샷 전대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는 분들이 많으셨고, 또 찬성하는 분들도 많으셨다”며 “이런 것들은 자연스럽게 나올 수 있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지금 야권 대통합을 내세우는 신당파와 민주당부터 살리자는 구당파의 대결’이라는 표현이 나오는가하면, 특히 호남권 의원들이 서명운동까지 벌이면서 단독 전당대회를 주장하고 있고, 이런 가운데 박지원 전 원내대표가 ‘3단계 통합론’을 제안한 것에 대해 “현 지도부가 18일에 사퇴를 하도록 되어 있지 않느냐. 시기가 촉박한데다가 야권 통합을 추진하면서 민주당 중심론, 민주당의 이름을 살려가는 이런 것들을 저희가 계속해서 강조를 하고 있고 통합에 참여하는 분들도 그 부분에 일정 부분 동의를 하는 상황”이라며 “문제는 민주당 중심이라든가 이름을 너무 강조하고, 또 독자적으로 선출해서 나중에 합치게 되면 몇 가지 문제가 노출될 것 같다. 첫째는 지분 문제가 불가피하게 나올 수밖에 없다. 민주당과 통합에 참여하는 분들이 지도부를 지분에 의해서 나눠야 하고 나중에 잘못하면 이런 것들이 공천에 있어서도 그 지분을 그대로 반영해야 하는 게 아닌가. 그런 우려가 있고, 또 하나는 민주당 중심을 너무 지나치게 강조를 했을 경우 통합에 참여하는 분들이 기꺼이 참여를 하겠느냐. 이런 부분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저희들이 불가피하게 이런 선택을 했다”고 해명했다.

그는 또 친노 세력이 중심인 혁신과 통합 쪽과 민주당 지도부가 협상을 하는 과정에서 민주당이 제 1야당으로서의 기득권을 주장하지 않겠다는 얘기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 “공천이 핵심일 수 있는데 여기에 대해서는 완전자유경선, 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으로 하겠다. 지분을 안 주는 방식으로 하겠다. 이런 부분은 총협에 참여하는 분들도 찬성을 하고 있다”며 “어쨌든 현역 의원들을 많이 갖고 있는 민주당, 또 원외위원장들은 그동안 쭉 지역구 관리를 해왔지 않느냐. 지역에서 강세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그런 부분을 일정 부분 같이 참여하는 쪽에서 인정을 하고 들어오겠다고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경쟁구도로 가겠다고 하는 것 자체가 기득권을 버리면서도 어느 정도 민주당의 우위를 인정해주는 그런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민주당과 통합 협상테이블에 함께 앉은 <혁신과통합> <진보통합시민회의>, <창조한국당>과 <국민참여당>의 대통합 추진세력 등 통합정당출범 연석회의 참가자는 이날 “민주당 중앙위원회에서 통합을 결의할 것을 기대했지만 아무런 결정이 이뤄지지 않은 것에 크게 실망한다. 정권교체를 위해서는 민주당의 자기 혁신과 대통합이 필요하다는 것이 국민의 요구다. 이를 받아 안지 못하는 민주당의 현실을 개탄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민주당 내에서 단독전당대회를 주장하는 것은 혁신 없이 다른 세력을 흡수하겠다는 것에 다름 아니다”라며 “이는 통합에 대한 예의도 아니고 시민의 참여로 혁신되고 통합된 정당을 원하는 국민의 열망에 반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들은 “민주당은 빠른 시일 내에 중앙위를 재소집하여 통합을 결의하고, 통합전당대회가 시민축제의 장으로 치뤄질 수 있기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