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침체’ vs 비수도권 ‘활황’… 주택시장 양극화
현대경제硏 “인플레+디플레 공존하는 바이플레이션 현상… 내년 지방도 버블붕괴 우려”
관리자
| 2011-12-05 15:45:00
금융위기 이후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주택시장 움직임이 대조적이다.
수도권의 주택가격은 하락세지만 비수도권은 상승세가 강한 것으로 나타나 주택시장에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공존하는 바이플레이션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 박덕배 전문연구위원은 4일 `주택시장의 바이플레이션 원인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렇게 지적하고 “수도권의 전셋값 상승은 매매가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지만 비수도권은 전셋값과 매매가가 함께 오르는 점도 주택시장의 바이플레이션 현상을 방증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비수도권도 근본적인 수급요인이 불명확해 버블 붕괴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금융위기 이후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주택시장 움직임이 대조적이다. 수도권 주택가격은 전반적으로 하락 추세가 진행되고 있으며, 신도시와 대형일수록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 비수도권 주택시장의 경우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특히 부산, 대전 등 일부지역의 경우 과열에 가까운 모습이 나타나면서 점점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또 주택시장의 지역별 바이플레이션 현상이 내년도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전망하며 매매거래 부진 속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관계없이 상당 기간 침체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박 연구위원은 “수도권의 경우 체감경기 악화 및 가계부채 문제 등으로 구매수요가 크지 않은 상태에서 현재의 아파트 시장 침체 흐름이 지속되어 장기 침체 국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반면 비수도권의 주택시장 활황은 근본적인 수급요인이 불명확한 가운데 수도권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 즉, 시간이 지날수록 약화되면서 버블붕괴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주택정책 방향에 대해 박 연구위원은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차별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수도권에 대한 주책정책은 전세수급 조절과 매매활성화를 통해 부채디플레이션 현상이 심화되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재개발·재건축·뉴타운의 개발 시기 분산을 통한 전세수요의 속도조절과 미분양아파트 등을 활용한 전세물량 확보로 전세수급을 조절해야 된다”고 닷붙였다.
부동산시장의 시한폭탄인 가계대출 원리금 상환에 대해서도 “상환구조를 선진국 수준으로 장기화(20~30년)함으로써 가계부실 문제가 갑자기 불거지지 않도록 유도하고, 입지 조건과 수급 상황에 맞는 가격시스템을 통하여 시장 친화적으로 미분양 물량을 해소해야 된다”고 말했다.
박 연구위원은 비수도권 버블 붕괴에 따른 폐해를 최소화 시키는 방향에 대해 “주택에 대한 투기적 수요를 억제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주택가격 급등 현상이 장기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