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통합, 갈수록 태산
혁통, 창당대회조차 불투명...우제창, “민주당 기득권 내려놓아야”
진용준
| 2011-12-07 11:38:00
[시민일보] 민주당과 혁신과통합을 중심으로 한 통합시민당이 추진하는 야권중통합이 파국위기에 처했다.
특히 통합시민당은 7일 오후 예정된 창당대회 개최마저 불투명한 상황에 놓이고 말았다.
통합시민당 측은 이날 "경선룰과 관련해 민주당과 끝까지 합의가 안 되면 오늘창당대회는 치르지 못하고 결의대회로 갈 수 있다"고 밝혔다.
민주당과의 합의문이나 수임기구 구성 등 통합을 전제로 한 창당의 기본조건이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
물론 이날 오전까지라도 민주당과의 합의가 이뤄질 경우 정상적인 창당대회는 열 수 있다.
하지만 전날 통합협상에서 민주당은 다수안인 '대의원 20% : 당원 및 시민 80%' 방식 경선룰을 갖고 협상을 진행했지만, 통합시민당 측이 이를 사실상 거부함에 따라 전향적인 조치가 나오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실제 통합시민당측은 “민주당안은 당원이든 시민이든 누구든 경선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오픈프라이머리(국민참여경선)를 하지 말자는 것”이라며 “당원 경선을 하자는 것인데, 이를 받아 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민주당 우제창 의원은 이날 “통합정당으로 가는 길에 하나의 유령이 민주당을 배회하고 있다”며 “이 유령은 ‘기득권’이라는 유령”이라고 맹비난했다.
이어 그는 “시민통합당이 창당대회에서 수임기구를 구성하려면 통합전당대회 경선방식에 대한 합의문이 나와야 한다. 그런데 경선방식에 대한 민주당의 지나친 요구와 협소한 정치로 아직까지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며 “이번 통합정당의 첫 전당대회는 매우 중요하다. 민주당의 외연은 물론이고 민주평화세력, 나아가 한국정치 자체가 결정적으로 확장되는 계기이기 때문이다. 현재의 위기는 정당정치의 위축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시민정치와의 연대를 통해 정당정치가 확장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것이다. 아울러 민주주의란 국민의 열망을 정당이라는 틀로 수용하고 이를 정책으로 실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 의원은 “그렇다면 통합정당의 전당대회는 모든 국민들에게 개방해야 하고, 젊은 세대가 참여하여 역동성을 불어 넣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하며, 이 모든 참여를 하나의 가치와 정책으로 수렴하는 통합과정이 보장되어야 한다”며 “그런데 민주당은 기존 당비당원을 선거인단에 자동으로 포함시키는 방식을 받아 들여 준 혁신과통합 측에게 일반 국민의 선거인단 자격에 당원 가입절차를 거치도록 제안함으로써 국민경선의 본래 의미를 훼손시키고, 통합정당의 첫 전당대회라는 역사적 의미도 퇴색시키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현재 협상에서 중요한 것은 선거인단 구성 비율이 아니라 국민의 관심과 참여 여부”라며 “국민은 세부 경선 룰에 전혀 관심이 없는데 민주당은 기득권 사수에만 몰두하고 있다. 당원 참여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일부 세력의 주장도 비판받아야 마땅하지만 그동안 비밀리에 협상을 진행하다 ‘경선 룰 사전합의설’의 논란을 불러일으킨 지도부의 태도도 상당히 문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지금처럼 민주당의 기득권 지키기 때문에 통합의 대의와 초심이 사라지고 지리멸렬한다면, 설사 이러한 상태로 창당에 성공한다 하더라도 정치교체를 요구하는 국민들의 기준에는 한참 못 미치는 결과로 가짜통합, 또 하나의 선거기획으로 비춰질 것”이라며 “민주당은 지금이라도 기득권의 유령에서 벗어나야 한다. 혁신과 통합 측이 요구하는 순수 국민경선제를 받아들이고, 통합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