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비대위, 중앙당체제 전국위체제로 전환 논의

권영세 “바로 결론 내리기에는 너무 큰 문제”

박규태

| 2012-01-25 12:11:00


Warning: getimagesize(http://www.siminilbo.co.kr/news/photo/Bdatafile/News/290029.png): failed to open stream: HTTP request failed! HTTP/1.1 404 Not Found in /home/simin/mobile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76

권영진 “정당혁신 차원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시민일보] 한나라당 권영세 사무총장은 25일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정치쇄신 국가위원회가 중앙당을 전국 위원회 체제로 바꾸고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없애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과 관련, “중앙당을 폐지하고 완전히 미국식 정당체제로 가는 것은 우리 정당 체제를 획기적으로 바꾸는 것”이라며 “지금 비대위에서는 공천이라든지 당의 정책쇄신이라든지 하는 문제 때문에 업무로도 부담이 많은 상태여서 그중에 하나로 논의해서 바로 결론을 내기는 너무 큰 문제”라고 말했다.


권 총장은 이날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에 출연, “이상돈 비대위원도 지금 당장 체제를 바꾸자는 얘기가 아니라 그런 부분에 대해서 계속해서 논의를 해 나가자, 새로운 논의가 필요한 부분인 만큼 계속해나가자 라는 취지였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홍사덕 의원이 ‘비대위에 권력을 집중시켜준 것은 당을 갖고 실험하라는 취지가 아니었다’ 라고 지적한 것에 대해 “그렇다”며 “비대위가 전권을 갖고 있지만 비상상황에서 갖고 있는 것이지 당을 완전히 해체하는 것까지 비대위에서 독자적으로 결정내릴 문제는 아니라는 지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권영진 의원은 같은 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한나라당 비대위가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없애는 방향으로 논의하고 있는 것에 대해 “한나라당이 이렇게 바뀐다고 해서 당장 민심이 그렇게 크게 바뀔 거라고 보지 않는다”면서도 “그러나 한나라당이 이번 위기를 대한민국 정당혁신으로 간다는 차원에서 반드시 필요하고 환영할 일”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홍사덕 의원이 ‘지금 비대위가 당을 갖고 실험하는 것 같다, 중요한 제도변경은 좀 침착하고 신중하게 해야 되지 않겠느냐’고 지적한 것에 대해 “우리가 두렵더라도 새로운 길, 국민을 위해서 옳은 길, 정치를 바꾸는 그길, 우리는 과감하게 가는 결단과 합의가 당내에서 만들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피력했다.


그는 당명 개정 문제에 대해서도 “당명 바꾸면 국민들 속이는 것이고 눈속임하는 거다 이렇게 얘기하는 분들도 있는데, 정말 그냥 앉아서 죽을 거냐, 아니면 정말 새로운 길로 가면서 국민들에게 기대를, 희망을 조금이라도 받을 것이냐, 이 선택의 문제라고 본다”며 당명개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권 의원은 수도권 설 민심에 대해 “여야 정치권과 현 정부에 대한 민심이 설 명절 칼바람보다 더 싸늘하다는 것을 온몸으로 느꼈다”며 “지난 18대 국회는 서울에서 48석 중에 40석을 한나라당이 얻었는데, 자칫하다 보면 이번에 역으로 결과가 나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전했다.


또 그는 이명박 대통령 탈당문제를 거론한 것에 대해 이재오 의원 등이 ‘패륜’이라고 반발하는 것에 대해 “사실은 한나라당내에서 먼저 불을 지핀 사람”이라며 “옛날에 왕조시대에는 왕이 만백성의 어버이라고 그랬다. 민주주의국가에서는 백성이 주인이다. 대통령이나 우리 같은 국회의원들은 종살이하는 거다. 국민이나 백성들이 나가라고 하면 우리는 나가야 하는 사람들이다. 저는 패륜이라는 얘기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한편 권영세 총장은 공천심사위원회 구성과 관련, 공천심사위원장에 대해 “특정한 인물이라기보다는 아주 엄정하고 정당에 대해서도 이해가 있으시고, 사회적으로 어느 정도 존경받는 등 몇 가지 요소들을 구비하신 분이었음 좋겠다”며 “내일 비대위에서 확정되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심사위원장도 심사위원장이지만 심사위원 구성에 있어서 당내외 인사들을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도 고민스러운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비대위원과 불출마를 선언한 현역 의원들이 공심위원을 맡는 문제에 대해, “우선 불출마 선언한 의원들이 들어가는 것에 대해서는 훨씬 더 객관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저는 긍정적으로 보지만 비대위원에 대해서는 조금 달리 생각한다”며 “비대위원들은 공천심사위원회에서 결정한 내용을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기구가 아니겠느냐. 본인이 들어가서 심사를 하고 본인이 최종결정을 한다는 것은 모순이기 때문에 비대위원이 공천심사위원회를 겸임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딘가 어색하고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역 25% 공천배제 방침과 관련, 수도권에서 불리하다는 주장에 대해 “지역별로 한나라당 강세지역과 약세지역, 혹은 경합지역별로 지역에서 출마하는 현역의원이 불리하지 않도록 여론조사에서 이미 보정이 일부 됐지만 혹시 그런 주장이 나와서 공천결과에 대해서 불복하는 사태가 벌어지지 않도록 공심위차원에서도 해나가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전략공천지에 대해 “상징적인 지역이 가장 우선이다. 특정한 선거구가 주변 지역을 포함한 그 지역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역, 특히 언론에서 중요시하게 봐왔던 지역들이 우선대상이 돼야 되겠고, 그 다음에 상대후보라든지 상대예상 후보 때문에 각광받을 지역들, 한나라당이 강세인 지역이기 때문에 좋은 분들을 모셔 와 투입해야 하는 지역들이 주요 대상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근혜 비대위원장 비서실장인 이학재 의원이 ‘박 비대위원장이 정몽준 전 대표나 김문수 경기지사는 물론 창당을 추진 중인 박세일 창당준비위원장도 만나겠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권 총장은 “지금 한나라당의 위상을 걱정하시는 분들, 보수세력 전체의 위기를 걱정하시는 분들이라면 다같이 만나서 논의하고 허심탄회하게 보수의 앞날을 논의해야 한다는 면에서는 당연하다고 생각한다”며 “저도 그 부분은 긍정적으로 평가를 한다”고 밝혔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