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건축물 673만여동… 67%는 주거용

수도권 10동중 3동 ‘25년이상’ 노후화… 지방 45.3% 달해

온라인뉴스팀

| 2012-02-16 16:53:00

지난해 말 전국 건축물은 673만1787동, 면적은 32억9510만5000㎡(서울면적의 약 5배, 서울 6억500만㎡)로 집계됐다.


국토해양부가 16일 발표한 ‘2011년말 기준 건축물 현황’에 따르면 이 가운데 주거용이 452만9464동(67.3%)으로 가장 많았고, 상업용 114만2766동(17%), 공업용 25만8744동(3.8%), 문화교육·사회용이 17만284동(2.5%)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경우 건축물 동수는 189만3222동(28.1%)인 반면, 연면적으로는 15억1300만㎡(45.9%)로 비수도권에 비해 건축물의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용도별 분포비율에 있어서도 수도권은 주거용 건축물 동수는 27.1%이나 연면적으로는 49.2%나 차지했다.


연면적으로는 아파트가 전체의 51.7%인 9억5234만3000㎡(12만5387동), 단독주택이 16.4%인 3억120만8000㎡(366만9973동), 다가구주택이 6.7%인 1억2416만6000㎡(470,499동), 다세대주택이 5.0%인 9160만1000㎡(19만4734동), 연립주택이 2.0%인 3591만5000㎡(3만4561동)로 파악됐다.


주거용 건축물에서 단독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수도권 8.8%, 비수도권은 23.7%로 비수도권에서 단독주택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는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비슷한 수준이었다.


건축물 노후화 현황은 25년이상 건축물은 수도권이 30.2%, 비수도권이 45.3%로 비수도권 건축물이 더 노후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부산(54.6%)과 전남(52.9%) 이 두 지역은 전체 건축물의 절반 이상이 25년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기도는 15년 미만 건축물이 40%를 넘어 신규 개발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파악됐다.


멸실된 건축물은 지난해에는 약 4만3000동이며, 이 중 주거용이 2만9000여 동(67.7%)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상업용도 8500여 동으로 20%를 차지하고 있다.


멸실 건축물의 67.9%는 20년 이상 된 건축물로 대부분 노후 건축물 위주로 멸실되고 있으나, 10년 미만 건축물도 9.8%나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은 부산의 주상복합건축물 해운대 두산위브더제니스로 80층이다.


그러나 현재 서울 잠실 제2롯데월드 등 100층이 넘는 건축물이 건설 중이므로 조만간 이 순위는 바뀔 것으로 보인다. /뉴시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