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風은 태풍...文風은 허풍
새누리 완승으로 ‘박근혜 대세론’ 탄력
이영란 기자
| 2012-04-12 11:57:00
Warning: getimagesize(http://www.siminilbo.co.kr/news/photo/Bdatafile/News/296154.jpg): failed to open stream: HTTP request failed! HTTP/1.1 404 Not Found in /home/simin/mobile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76
|
|
민주당 ‘낙동강벨트’ 참패로 ‘문재인 한계론’ 등장
[시민일보] 152 대 127.
4.11 총선에서 박풍(朴風, 박근혜 바람)이 전국을 휩쓰는 태풍의 위력을 발휘했다. 반면 문풍(文風, 문재인 바람)은 극히 미미해 부산지역에서조차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허풍(虛風)에 지나지 않았음이 확인됐다. 1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집계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비례대표를 포함 152석(비례 25석)을 차지한 반면, 민주통합당은 127석을 얻는데 그쳤다. 민주통합당은 야권연대를 이룬 통합진보당과 합해도 140석에 불과하다. 민주당이 당초 목표로 했던 원내 제1당은 물론, 야권 연대 과반의석도 모두 실패한 것이다. 특히 민주통합당은 공을 들였던 이른바 ‘낙동강 벨트’라고 하는 부산·경남지역에서도 단 세 석을 얻는데 그쳤다. 반면 새누리당은 단독 과반의석 차지에 성공하며 정국 주도권을 이어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새누리당은 경기 지역 52곳 가운데 21곳을 이기는 등 나름대로 선전한데다 충청과 강원 지역에서도 큰 승리를 거뒀다. 정당 투표에서도 새누리당이 6% 포인트 앞서 비례대표 의석수 4석을 더 얻었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이 정권심판론의 불리한 구도 속에서도 역전승을 거둔 것이란 평가가 나오고 있다. 통합진보당은 목표로 했던 원내교섭단체 구성은 실패했지만 역대 최다 의석수인 13석을 얻으며 자유선진당을 제치고 원내 3당 자리에 올라서게 됐다. 반면 자유선진당은 지지 기반인 충청 지역에서 단 3석을 얻는데 그쳐, 비례대표 2석을 더해도 전체 5석에 불과한 군소 정당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박근혜 대세론 탄력...친이-비박계 몰락= 새누리당은 야당의 '정권심판론' 공세에도 불구 대선을 8개월 앞두고 치러진 선거에서 승리함으로써 대선가도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됐다. 특히 이번 선거를 단독으로 진두지휘하며 '원맨쇼'를 펼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대세론' 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서울마케팅리서치 김미현 소장은 4.11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압승한 것에 대해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아니었다면, 가능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소장은 이날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에 출연, “민주통합당의 경우 박근혜 위원장을 상대로 전국적으로 이슈몰이를 할 만한 인물이 없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새누리당은 올해 초까지만 해도 정부·여당에 등돌린 민심이반 때문에 100석만 건져도 다행이라는 절망적인 소리가 흘러 나왔었다. 이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취임한 박 위원장이 '재창당을 뛰어넘는 쇄신'을 약속하고, 이명박 대통령과 차별화 정책을 내걸고 인적쇄신을 단행하면서 재도약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 새누리당으로 당명까지 바꾸면서 쇄신 의지를 보이자 여론도 점차 좋아져 17대 총선 당시 얻은 121석 정도는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낙관적인 전망이 나온 것은 이 시점이었다. 그러나 결과는 이런 예상조차 뛰어 넘는 새누리당 과반의석 확보라는 압승으로 나타났다. 실제 새누리당은 이번 선거에서 '텃밭'인 영남권의 굳건한 지지세를 확인하고 충청과 강원에서도 선전했다. 특히 문재인 바람몰이가 예상됐던 '낙동강 벨트'마저 부산 사상과 부산 사하을, 경남 김해갑 등 3곳만 내주었을 뿐, 새누리당의 확고한 지지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박근혜 대선 체제로의 전환은 훨씬 더 순조롭고 빨라질 전망이다. 홍문종 전 의원 등 '대선 역할론'을 강조했던 친박계 당선자들의 활약도 예상된다. 반면 당내 친이-비박(非朴)계의 몰락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명박 정권의 2인자로 불리던 친이계 좌장격 이재오 의원이 '친노' 돌풍을 일으킨 천호선 후보와 끝까지 피말리는 접전 끝에 가까스로 살아남았다. 여권 내 잠룡으로 분류됐던 이재오 의원은 개표 막판까지 통합진보당 천호선 후보와 1%포인트 안팎의 차이에서 엎치락뒤치락하다 결국 1448표차로 승리했다. 하지만 이는 야권분열에 따른 반사이득에 불과했다. 같은 지역구에 출마한 이문용 정통민주당 후보의 득표는 2634표였다. 이문용 후보의 표가 고스란히 천 후보에게 갔다면 역전이 가능한 수치였다. 정통민주당 이문용 후보가 이재오 후보를 살려 준 셈이다. 당초 정 전 대표는 뛰어난 대중성을 앞세워 낙승이 예상됐으나 결과를 낙관하기 힘들 정도의 접전을 벌이다 후반에 가서야 겨우 격차를 벌리는 체면 구기는 승리를 한 것이다. 이로써 정 전 대표는 독자적으로 당내 대선경쟁에 나설 여력조차 상실하고 말았다. 특히 전여옥 의원 등 측근 의원들까지 탈당 또는 공천에서 탈락함에 따라 동력이 상당부분 떨어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과거 일방적으로 앞섰던 것과는 달리 이번에는 접전을 벌인 곳이 많았을 뿐만 아니라, 특히 최대 승부처로 꼽힌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선 절반 이상의 지역구를 민주당과 통합진보당 등 '두 야당'에 내줘 친이계와 비박계가 박 위원장의 득표 '확장성'에 대한 한계를 공격하며 틈새를 비집고 들어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문재인-안철수 한계론...한명숙 책임론 예상= 4.11 총선에서 민주통합당이 완패함에 따라 한명숙 대표가 대표직을 수행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김미현 소장은 “한 대표가 당초 유리할 것이란 선거를 제대로 치렀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당내에서 물러나라는 요구가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민주당 장성민 전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한명숙 대표의 대표직 사퇴 및 당 지도부 해체를 요구했다. 장 전 의원은 "정권을 빼앗긴 지 불과 5년만에 하늘과 민심이 준 정권교체의 기회를 민주당은 오만과 자만의 리더십으로 스스로 망쳤다"며 "한 대표는 당 대표직, 비례대표후보직을 사퇴하고 정계은퇴를 선언하라"고 요구했다. 총선 패배와 관련해 지도부 책임론을 공식 거론한 것은 장 전 의원이 처음으로 지도부 책임론이 확산될 지 주목되고 있다. 민주당 한 관계자는 “한명숙 대표는 지난 2월 전당대회에서 당의 주요 주주인 대선주자들(문재인·손학규·정동영·정세균)이 공동으로 옹립하는 형태였으나 공천 과정에서 잡음이 끊이지 않으면서 지도력에 큰 상처를 입었을 뿐만 아니라, 김용민 후보의 막말 논란에 대해서도 단호하게 대응하지 못해 막판에 새누리당의 추격을 맥없이 허용했다”며 “정권심판론이 거센 상황에서 절대적으로 유리한 선거구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여당에 승리를 헌납한 한명숙 대표의 책임론은 당연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한명숙 대표 체제의 운명은 4월 하순에 있을 당선자 워크숍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며 “조기전당대회를 통해 당을 다시 추슬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선거의 완패로 당내 유력 대권주자인 문재인 불가론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민주당은 부산 경남지역의 이른바 ‘낙동강 벨트’에서 문재인 고문이 문풍을 일으켜 최소 5석에서 많으면 15석 까지도 기대했으나, 결과는 겨우 3석에 그쳤다. 문재인 고문이 출마한 부산지역에서 2석을 얻었으나, 한 석은 자신의 것이었고, 또 다른 한 석은 독자적 경쟁력을 지닌 조경태 의원의 것이었다. 실제 조 의원은 민주당 후보로 이것에서 3선을 할 만큼 탄탄한 지지기반을 갖고 있었다. 결국 문 고문의 영향으로 당선된 민주당 후보는 단 한 사람도 없는 셈이다. 더구나 문 고문의 성적도 초라하기 그지없었다. 당초 압도적인 승리가 예상됐으나 정치 초년생인 상대 손수조 후보와의 격차는 불과 12% 정도였다. 결과적으로 문 고문은 자신의 정치 고향인 부산에서조차 박 위원장을 넘지 못하고 자신의 지역구에만 갇혀 있었던 셈이다. 이처럼 문재인 고문의 한계가 드러난 만큼 문재인 불가론이 제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실제 이 틈새를 비집고, 당내 비주류로 전락한 손학규 전 대표와 정동영 의원 등이 부상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문재인 대안으로 손학규·정동영 두 대권주자와 함께 이인영 최고위원, 박영선 전 최고위원 등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총선 이후 대권도전이 점쳐지고 있던 안철수 원장에 대한 신선도도 많이 떨어졌다. 실제 안 원장이 총선을 이틀 앞둔 지난 9일을 포함해 연속적인 투표 독려 메시지를 보냈음에도 투표율은 54.3%로 매우 낮았다. 지난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투표율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에 대해 한 정치 평론가는 “정치권 외곽에서 간접적인 정치를 하는 안 원장의 ‘신비주의’ 영향력이 예전 같지 않다는 반증”이라며 "더 이상 ‘안철수 대망론’은 없다"고 단언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