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위 공무원, 징계부가금 징수 22% 불과

공석호 시의원, “징계부과금 실효성 높이는 방안 마련돼야”

이영란 기자

| 2012-05-15 11:13:00

[시민일보] 지방공무원의 비위에 따른 징계부가금 징수율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서울시가 서울시의회 민주통합당 공석호 의원(민주통합당, 중랑2)에게 제출한 ‘서울시 공무원 징계처분에 따른 징계부가금 현황’에 따르면, 전체 징계부가금 6057만8000원 중 22.7%인 137만96000원을 징수했다.

징계부가금은 공직사회의 교육비리와 토착비리, 사회복지 예산 횡령 등의 부패를 막기 위해 공무원이 공금을 횡령·유용하거나 금품 또는 향응을 받을 경우 수수 금액의 5배 이내에 해당하는 금액을 물리는 제도다.

서울시는 징계부가금 규정이 신설된 이후 향응·금품수수 등 비위 행위로 공무원 9명에 징계부가금을 물렸다. 대상자는 사업소 공무원 3명, 구청 공무원 6명으로 나타났다.

인사위원회 결정에 따라 이들에게 6057만8000원의 부가금을 추징했지만, 77.2%에 해당되는 4678만2000원을 징수하지 못했다.

이처럼 징수액이 낮은 이유는 파면을 당한 공무원이 부가금 납부를 외면하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실제 공금횡령과 노래방 금품수수 혐의로 파면된 임OO씨와 이OO씨에게 추징한 부가금은 4657만6000원에 이른다. 하지만 임씨는 3611만6000원을, 이씨는 1046만원을 납부하지 않고 있다. 또 업자에게 골프접대를 받아 징계(견책)을 당한 김OO씨는 20만5000원이 미납됐다.

주민등록등·초본을 부당 발급으로 해임된 이OO씨는 징계부가금은 면제됐지만, 불법수수금액 5배에 해당되는 1185만5000원을 벌금으로 부과했다.

공석호 의원은 “공직 비리를 척결하고 부정부패를 막기 위해서는 비위 공무원의 징계부가금 추징은 감경 사유를 제외하거나 최소화해야 한다”며 “지방공무원 징계에 관한 규칙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징계와 감경기준을 강화하여 국민정서에 맞도록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