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유일호, “서울시당, 청년 관심정책 준비하겠다”
새누리 유일호 시당위원장, “오픈프라이머리 시간이 걸린다”
이영란 기자
| 2012-06-25 12:35:00
Warning: getimagesize(http://www.siminilbo.co.kr/news/photo/Bdatafile/News/301898.jpg): failed to open stream: HTTP request failed! HTTP/1.1 404 Not Found in /home/simin/mobile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76
|
[시민일보] 최근 새누리당 서울시당 위원장으로 추대된 유일호 의원은 새누리당의 정치적 현실을 “ 위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유 위원장은 24일 <시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18대 당시 서울지역 새누리당 국회의원은 40명이었지만 이번 총선에서의 생존자는 16명에 불과하다. 25개 자치구 중 새누리당 소속 구청장은 5명이고 서울시의원도 25%에 그친 현실도 99%를 차지하던 이전 생각을 생각하면 확실히 위기적 상황”이라며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특히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에 비해 저조한 득표율을 보여준 2, 30대 표심에 상당한 위기감을 느꼈음을 토로했다. 이와 관련 유 위원장은 “이 같은 당의 현실을 감안, 보육문제, 대학등록금, 청년실업 문제 등 청장년들이 주목할 만한 분야로 서울시당의 정책 방향을 잡고 있다”며 적극적 의지를 보였다. 경제학자 출신인 그는 현재 당내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경제민주화에 대해서도 상당한 관심을 표명했다. 유 위원장은 “대기업이 자초한 측면도 있다. 기본적으로 이명박 정부의 기업 프렌들리 정책으로 대기업들의 성적이 좋아졌는데, 국민들은 그 혜택이 국민들에게는 안돌아 왔다고 인식하고 있는 게 문제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오비이락인지, 불법 행위 등 재벌들의 몇 가지 파행 사례가 국민 반감을 자초한 측면이 있다. 최태원, 김승현 회장이 계속 재판받고 있고, 이건희 회장이 집안문제와 관련한 발언 등 평소 같으면 아무 문제가 없을 텐데 전반적으로 대기업에 대한 반감이 고조돼 있는 분위기라 부정적 요소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시장경제 질서에서 가장 문제시 되는 건 대기업의 일감 몰아주기, 중소기업 업종 진출이 아닐까 싶다. 이런 것들은 정서상 문제일 뿐 아니라 시장질서상에도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공정한 경쟁이 아닌 것이 굉장히 많다”고 비판했다.
유 위원장은 “물론 스스로 좋은 유통망을 갖춰놓은 것은 대기업의 공으로 치부할 수 있다”라면서도 “하지만 재벌가 가족들의 무임승차는 시장질서에 반하는 요소만으로도 도덕적, 정서 문제 이전에 시정해야 할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그동안 이런 부분에 대한 개혁이 일부 추진됐지만 그 정도로는 안 된다”며 “중소기업과의 거래에서 단가를 후려치는 등의 불공정 행위는 반드시 근절돼야 마땅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그는 통합진보당 등 진보 세력 일각에서 주장하고 있는 재벌해체에 대해서는 “극단적”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유 위원장은 12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당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오픈 프라이머리’ 논의에 대해 “당원들 대다수가 원한다고 하면 해야 된다”면서도 “(고비용 측면 등을 고려하면) 과연 우리가 꼭 그것을 해야만 민주적인 절차이고, 옳은 절차인지 생각해 볼 때, 돈을 들이고서라도 꼭 그걸 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그는 또 “오픈프라이머리라는 것을 미국 50개 주 중 30개 정도가 하고 있는데, 주마다 다르긴 하지만 공화당이면 공화당, 민주당이면 민주당 당원만을 상대로 하는 오픈프라이머리도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조차도 완전국민 참여경선이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몇 가지 사례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이 제도가 선진적인 건 맞지만 우리가 도입해서 착근시키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는 “미국은 어려서부터 당원이 될 수 있고 대학생 당원도 가능하다. 자기 가정이 공화당이면 공화당, 민주당이면 민주당으로 지지정당이 대대로 이어지기도 한다. 당에 아무런 일을 안 해도 당원이 될 수 있는 정당 현실에서는 오픈이 가능할 수 있겠지만 우리는 그런 시스템이 아니다”며 “그렇기 때문에 오픈프라이머리 방식이 우리의 정치현실에 최적인가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미국식으로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하려면, 우리도 국민 대다수가 정당의 당원이 되는 풍토가 선행돼야 한다”며 “그래서 시간이 더 필요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오픈프라이머리 경선과 관련, 황우여 대표 등 당 지도부가 부정적 인식을 보이는 것에 대해 김문수 이재오 정몽준 등 이른바 ‘비박3인방’이 “박근혜 사당화이고, 독재”라고 비판하는 것에 대해 “소수인 그분들 입장에서야 그렇게 할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사당화까지라고는 볼 수 없다”고 일축했다. 이어 그는 “정치는 타협의 과정”이라며 “당내 다수파인 이른바 친박 진영에서 그쪽 얘기를 경청할 필요는 있다. 그렇다고 그걸 사당이 됐다고까지 말하기는 곤란하지 않느냐”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그는 ‘지도부 친박 독주’ 주장에 대해 “지난 전당대회에서 비박 후보로 나온 분이 2명 뿐이다. 그 중 한 분이 당선됐다. 원내대표도 친박인 이한구 의원이 당선 됐지만, 러닝메이트인 정책위의장인 진영 의원은 선거 당시 친박이라고 보긴 어려운 분이었다. 또 국회의장은 대표적 친박 인사인 반면, 부의장은 또 대표적 친이 인사 아니냐, 그렇게 보면 한쪽에서만 다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반박했다. |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