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국정조사ㆍ청문회 두고 입장차 극명

이한구, “부대표간 논의 진전있어도 나는 절대 용납 안 돼”

전용혁 기자

| 2012-06-28 10:53:00

이용섭, “원포인트 국회, 국회 장기간 공전시키려는 속셈”
[시민일보] 여야의 국회 개원 관련 협상이 마무리단계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민간인 불법사찰, 언론사 파업 등에 대한 국정조사와 청문회 실시와 관련해서는 여전히 극명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는 27일 오전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여야가 국정조사를 하는데 공감하는 것으로 보도가 나왔다’라는 사회자의 질문에 “잘못된 보도”라고 딱 잘라 일축했다.

그는 “수사가 덜 됐다고 저희들은 판단하고 있는데, 그러면 수사가 완결되도록 하는 게 급하다, 그래서 우리는 특검을 해야겠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MBC 파업과 관련, “일부 방송사 노사분규가 있는데 이걸 갖고 국회에서 청문회 하자, 국정조사 하자 하는 요구가 민주당으로부터 있었는데 그건 안 되는 것”이라며 “언론사든 뭐든 노사분규는 자체 해결해야지 외부에서 자꾸 입김 집어넣으면 오히려 결과에 책임질 수 없는 일이 벌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원내수석부대표들간에 이 문제가 국정조사에 공감하는 정도까지 진전된 것은 아닌가’라는 질문에 “논의가 진전됐든 안 됐든 저로서는 그걸 용납할 수가 없다”고 분명히 입장을 밝혔다.

그는 “단독국회니 이런 소리는 절대 듣고 싶지가 않은데 지금 민주당이 옛날과는 달라 거대야당이 됐다. 그러면 옛날하고 다른 행태를 보여줘야 할 것”이라며 “옛날에는 작은 당이었으니까 욕심을 내도 받아줬지만 이제는 거대야당으로서 책임감을 갖고 좀 의연하게 국회를 공동운영한다는 기분으로 일을 해줘야 국민들 기대에 맞을 것”이라고 충고했다.

그는 이어 “당근을 줘서 협조를 요청하는 식의 접근은 옳지 않고, 여당은 국회의 일부이기 때문에 행정부를 감싸는 것은 더 이상 안 할 것”이라며 “민주당도 국회의 구성원으로서 거대야당으로서 책임 있는 행동을 해달라는 게 저희의 요청”이라고 요구했다.

그는 그러면서 “우선 사법부 대법관 인준 때문에 급하니까 조건 다 맞추려면 시간이 걸린다. 우리끼리만 합의해서 될 일이 아니고 우리는 당에 돌아와서 협의를 또 해야 하기 때문”이라며 “일단 빨리 국회 의장, 부의장부터 선출해놓고 그 사람들 중심으로 대법관 인사청문회는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민주통합당 이용섭 정책위의장은 MBC 파업 문제와 관련, “청문회를 (새누리당으로부터)받아낼 것”이라며 “언론 파업에 대한 청문회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이 정책위의장은 이날 BBS 라디오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지금 새누리당이 원포인트 개원하자는 얘기는 의장단 선출하고 대법관 청문회만 하자는 뜻인 거 같은데 이건 적절하지 않다”며 “국회를 전반적으로 정상화 시켜야 할 것인데, 원포인트 국회를 하게 되면 그야말로 국회를 장기간 공전시키겠다는 속셈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열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동안 상임위, 상임위원장수, 세 가지 정도를 우리 야당이 양보를 했고, 지금 남아있는 것은 민간인 불법사찰, 이것은 국정조사하고, 내곡동 사저 문제는 청문회하고, 남아있는 게 언론사 장기간 파업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 쪽에서는 언론사 파업과 관련해서 청문회를 하자는 건데 여당쪽에서는 거북스러워 하고 있다. 유력 대선 후보까지 연결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이 문제만 타결이 되면 마무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사간의 문제를 정치권이 개입하면 안 된다’는 새누리당측 주장에 대해서는 “김재철 (MBC)사장 같은 경우 공금을 유용한 탈법적인 사항이 노출이 됐고 전에 같으면 본인이 우선 사임을 한다. 본인이 사임을 안 하면 청와대에서 해임 절차를 들어가는 것인데 그런데도 계속해서 버티고 있는 것은 청와대를 비롯한 정치권이 뒷받침해주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검찰이 수사해서 사법부 판단까지 가야 하지만 이것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 공직자들의 경우에도 부정혐의가 있으면 일단 징계를 하거나 해임을 하고 사법부 절차는 오래가면 1~2년을 가게 된다”며 “검찰수사는 별도로 진행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민은 진실을 알기를 원하는데 아무데도 진실 규명을 해주지 않기 때문에 정치권이 나서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