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세력, 인재영입 의견차 보여
안철수 '독자세력화' 삐걱… 측근들도 의견 분분
이영란 기자
| 2013-05-20 16:57:00
Warning: getimagesize(http://www.siminilbo.co.kr/news/photo/Bdatafile/News/325578_1.jpg): failed to open stream: HTTP request failed! HTTP/1.1 404 Not Found in /home/simin/mobile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76
|
송호창 의원 "독자 세력화란 시각은 지나친 정치적 해석"
조정관 교수 "새정치 목표에 뜻이 같다면 많이 많나봐야"
[시민일보] 무소속 안철수 의원 측근들이 독자세력화 및 인재영입을 둘러싸고 온도차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안 의원 측근인 무소속 송호창 의원과 지난해 대선 당시 안 후보 비서실 부실장을 맡았던 정기남 전 부실장은 20일 "독자 세력화란 시각은 지나치게 정치적인 해석"이라고 선을 그었다.
반면 안철수 대선캠프 정치혁신포럼 소속이었던 전남대 조정관 교수는 같은 날 독자세력화와 인재영입 의지를 분명히 했다.
당사자 격인 안의원도 지난 부산과 광주 방문 당시 호남을 기반으로 한 정치세력화와 인재영입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이같은 입장차에 대해 정기남 전 부실장은 이날 <시민일보>와 통화에서 “안 의원 발언의 의미는 궁극적으로 새로운 정치를 지양하고 가치를 동의하는 세력을 찾고 그들과 함께 가는 것을 고민 하겠다는 것”이라면서도 “앞으로의 정치기준을 제시하는 정도로 이해해야 맞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독자세력화와 인재영입을 주장한)조정관 교수는 안 의원과 수시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환경에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은 의견을 나누고 공감대를 넓혀가는 과정”이라며 “10월 재보궐선거만 해도 아직 지역구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사람 저사람 거론되는 상황 맞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조만간 정책연구소 출범 등을 통해 다양한 논의를 모으고 구체적인 정책이나 인물에 대한 것들을 제시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호창 의원은 이날 오전 MBC <김창옥의 시선집중>에 출연, 독자세력화로 민주당과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기성정치권을 전면적으로 개혁하기 위해 참여할 사람들이 많이 필요하다는 얘기를 하는 것이지 어느 한쪽과 경쟁을 한다고 보는 것은 너무 편협한 시각"이라고 일축했다.
특히 그는 광주를 거점으로 한 독자세력화냐는 질문에 "과거에 수차례 문제가 됐던 지역주의에 매달린다거나 의존한다거나 그런 측면으로 해석돼선 안 된다"며 "호남에 기반을 둔 또 다른 지역주의에 의존하는 듯한 시각 자체가 낡은 정치에 의존하는 시각"이라고 답변했다.
그는 "아직까지 10월에 재보궐선거를 할지 여부가 확정된 곳은 아직 1군데도 없다. 그런 상태에서 10월 보궐선거를 얘기하는 것 자체가 아직은 너무 섣부른 이야기"라고 거듭 강조했다.
정기남 전 부실장 역시 같은 날 SBS <서두원의 시사초점>과의 인터뷰에서 "독자 세력화란 시각은 지나친 정치적 해석"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또 “현 시점은 다양한 여론과 의견을 경청하는 단계”라며 “세력화에 대한 본격적인 실행에 나섰다고 보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인재영입과 관련해서도 "특정인을 감안한 영입기준에 대해서는 아직 진전된 바 없고 검토한 사실도 없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단계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안철수 대선캠프 정치혁신포럼 소속이었던 전남대 조정관 교수는 이날 tbs <열린아침 송정애입니다>와의 통화에서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시하는 분들과 만남을 갖고 의논도 하고, 또 선거를 앞두고 많은 사람들과 다양하게 교류하는 방식을 다양하게 구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10월 재보선과 관련 "지역연고가 있거나 또는 그 지역에 나가볼만한 좋은 분들이 있고 또 그분들이 안철수 의원이나 새 정치의 목표에 뜻을 같이 한다면 많이 나가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우리 국민들은 새누리당에 대한 견제만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민주당 수준을 넘어서는 야권의 혁신적인 개편을 요구하고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야권의 핵심적인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호남정치가 무엇보다도 바뀌어야 한다"며 독자세력화 방침을 재확인했다.
이처럼 안철수 측 내부에서 10월 재보선 독자세력화와 인재영입에 대해 각기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에 대해 불투명해진 성공 가능성에 대한 우려 때문에 안의원의 이미지 손상을 막기 위한 속도조절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시각이 있다.
또 여전히 독자세력화와 인재영입을 주장하는, 안철수 측근의 또 다른 목소리에 대해서는 (안철수 신당의)성공 가능성을 완전히 닫아두지 않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실제 이상돈 전 새누리당 정치쇄신특위 위원은 전날 <시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안철수 세력이 영남에서 나오겠는가, 아니면 서울에서 나온다고 되겠느냐”며 “10월 재보선에서 안철수 세력은 단 한석도 원내 진입에 성공하지 못한다”고 단언한 바 있다.
또 한 때 안철수 멘토로 불렸던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도 최근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안 의원이 작년에 대
선 출마선언을 했을 때 선언하자마자 여론조사에서 당시 문재인 후보와 (여론조사 지지율이) 오차범위 내였는데 같은 상황이면 새로운 정당, 정치세력을 만들어도 탄력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부정적인 전망을 낸 바 있다.
익명을 요구한 민주당 모 중진의원은 이날 <시민일보>와 통화에서 “현 상황에서 안철수 의원은 독자세력화 할 수 밖에 없다. 민주당에 들어가면 죽는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안 의원은 ‘안철수 정치’를 통해 자기 비전을 보여준 후에 민주당 등 다른 정당과 연대에 나서야지 다른 세력하고 먼저 손잡으면 죽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안의원이 ‘호남의 마중물이 되겠다’며 광주를 기반으로 한 정치세력화의 의지 밝힌 것에 대해 “텃밭 없는
정치는 어렵다." 고 말했다. 안의원도 광주나 부산을 기반으로 한 정치를 출발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는 것”이라며 “안 의원의 광주와 부산 행보는 텃밭을 만들려는 자기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고 해석했다.
한편 안철수 의원은 지난 18일 오후 광주 신양파크호텔에서 지역 기자간담회를 열고 독자세력화와 인재영입 의지를 밝힌 바 있다.
당시 안 의원은 "지난 대선출마 이후 끊임없이 어느 한편에 설 것을 요구받았지만 결코 편 가르기 정치에 동참할 생각이 없다. 오직 국민의 편에 서겠다"고 독자세력화 의지를 보였다. 그러면서 그는 "광주는 한국정치의 물줄기를 바꿔왔다. 과거의 광주가 그러했듯이 지금 대한민국 정치개혁의 씨앗이 돼주시고 중심이 돼 달라"며 "그 마중물이 되겠다"며 광주를 거점으로 한 독자세력화 추진의지를 분명히 했다.
뿐만 아니라 안의원은 "사익보다는 공익을 추구할 수 있는 분,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구조개혁에 동참할 수 있는 분, 적대적 공생관계의 기득권 정치를 청산할 의지가 있는 분들이 필요하다"며 인재영입 의지를 재확인하면서 구체적인 기준까지 제시한 바 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안철수 무소속 의원을 비롯한 의원들이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315회 국회(임시회) 4차 본회의에서 법안투표를 하고 있다. |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