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전력난'에 '순환단전' 우려 고조

예비전력 154만KW에 발전소도 고장...블랙아웃될까 초비상

이대우 기자

nice@siminilbo.co.kr | 2013-08-12 17:49:56

[시민일보] 최악의 전력난이 발생하면서 점차 순환단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와 전력당국이 이번 주 전력수요가 사상 최대치인 8050만㎾로 치솟으면서 예비전력이 154만㎾(전력수급경보 '경계')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다 발전소의 고장 정지 등 돌발상황이 발생할 경우 예비전력은 100만㎾ 아래로 떨어져 전력경보 심각단계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다.


전력수급경보는 예비전력을 기준으로 준비(400만~499만㎾)·관심(300만~399만㎾)·주의(200만~299만㎾)·경계(100만~199만㎾)·심각(100만㎾ 미만) 등 5개 단계로 나뉜다. '심각' 단계는 언제 블랙아웃(대정전)이 발생할지 모르는 긴박한 상황을 가리킨다.


전력당국은 지난해 말부터 전력경보 단계별 대책을 준비·관심, 주의·경계, 심각 등 3가지로 분류해 대응하고 있다.


준비·관심=전력수급경보 준비나 관심이 발령되면 절전규제, 에너지 사용제한, 산업체 조업조정 등 기본적인 전력수급대책이 시행된다.


민간 자가발전기와 공공기관 비상발전기가 가동돼 각각 최대 50만㎾와 10만㎾의 전력을 확보하게 된다. 배전용 변압기 전압도 하향 조정돼 70만㎾의 수요를 줄인다.


주의·경계=전력수급경보 주의나 경계 단계가 발령되면 공공기관 약 1만9600만곳의 냉방 가동(25만㎾)이 중단된다.


석탄 발전기 28대는 최대보증출력(MGR)으로 운전돼 30만㎾의 공급능력을 추가하며 150만㎾에 해당하는 긴급절전이 시행된다.


치안이나 소방, 공항, 의료 등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시설이 아닌 공공기관은 자율단전을 시행해 총 40만㎾의 수요량을 감축해야 한다.


전력경보 심각=전력당국은 전력경보 '심각'으로 떨어지면 순환단전을 실시하게 된다.


순환단전이란 전력수요가 공급능력을 초과함으로써 전력설비와 계통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한 예방 조치다. 정전에 따른 예상 피해 수준을 고려해 지역 및 대상별로 1시간씩 전기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국내에서는 지난 2011년 9월15일 처음으로 발생했었다.


국내의 순환단전은 우선 주택과 아파트, 일반 상가를 대상으로 시작된다. 주택과 상가는 규모와 따른 차별 없이 동일한 순위로 적용된다.


2순위는 다중이용시설 공급선로와 산업용 일반 및 산업용 공단(단독선로 포함)이다. 농어업과 축산업 등 정전에 민감군과 대규모 산업용(66㎸ 이상)은 가장 늦게 단전된다.


다만 동계 혹은 하계에 순환단전이 반복될 경우 형평성 차원에서 같은 대상에 대한 중복 단전이 금지되기 때문에 수급상황이 더 악화되면 후순위 대상도 단전 대상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진다.


단, 행정기관과 군부대, 방위산업 시설, 금융기관, 의료기관, 고속도로 요금 정산소 등은 순환단전 대상에서 제외된다.


전력당국은 9·15 순환단전 이후 대상 호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단전 시간을 30분에서 1시간으로 확대했다. 또 단전 지시 단위를 10만㎾에서 50만㎾로 늘려 제도의 실효성을 높였다.


한편 전력당국은 단전 예고 메시지(SMS) 발송시스템의 서버용량을 시간당 86만건에서 600만건으로 늘렸다.


이는 500만㎾를 확보하기 위해 1시간 단전할 경우 단전 대상인 269만호에 30분 이내에 단전 예고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는 용량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