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예방으로 여름을 건강하게 보내자
인천강화소방서 강화119구급대
임천혁
| 2014-07-06 13:25:54
우리가 흔히 말하는 더위를 먹었다고 하는 여름철 더위병에는 열경련, 일사병, 열사병 등이 있는데 그 손상 정도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다. 무더운 날씨 속에 장시간 직사광선에 노출될 때 강한 열에 우리 인체가 체온조절을 잘하지 못해 일어나는데 두통, 설사, 현기증 등이 동반된다.
첫 번째는 열경련으로 가장 경미한 열손상이며 더운 환경에서 땀 손실이 많아 전해질 평형이 깨져 근육에 경련이 발생하는 것이다. 통증이 동반되기도 하고 더위에 장시간 마라톤이나 조깅하는 경우 흔히 발생되며 치료방법으로는 수분과 염분을 알맞게 섭취하며(0.1% 식염수+물 1리터에 소금 한티스푼) 경련이 일어나는 근육을 마사지 해주고 그늘에서 쉬면 된다.
두 번째는 일사병으로 더위 손상 중 가장 흔하며 심한 수분 소실에 의해 체액이 부족해진 경우에 발생한다. 수분이 빠져나가 몸이 약해져 전신 쇠약증상과 오심과 두통을 수반하는 현기증이 발생하며 맥박도 빨라진다. 이 경우 시원한 곳에 가 이온음료, 물을 마시면 대부분 호전되나 만약에 의식이 나빠지고 체온이 점차 상승하여 증상이 신속히 호전되지 않으면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더운 환경에서 오래 서 있거나 고온에서 격렬한 운동, 야외작업시 햇볕에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이온음료를 마실 때 소금을 같이 섭취하지 말고 야외활동시 모자를 쓰고 넉넉한 옷을 입으며 운동 중간에 적절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이 무더운 여름속 과일 등 비타민 섭취를 잘하고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 피부나 눈을 보호해주고 충분한 휴식과 물을 자주 섭취한다. 실내온도는(26~28℃)로 하며, 실내ㆍ외 온도차를 5℃ 정도로 유지하며 환기는 1시간에 한 번씩 10분간 해준다. 또한 날음식은 피하며 기름진음식과 찬음식은 조금만 먹고 손발을 깨끗이 씻고 편안한 잠자리를 갖도록 하며 체질별 보양식을 먹는 등 평소에 가벼운 운동과 여름철 건강관리를 잘 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