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 조직위-시민들 거세게 반발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4-12-09 16:38:11
박건만 홍보전문위원, “순조롭게 경기장 건설 진행돼, 분산개최 용의 없다”
강원도시민사회단체, “일본 분산개최는 반대, 국내 분산개최는 검토해봐야”
[시민일보=전용혁 기자]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이 2018 평창동계올림픽과 2020년 도쿄하계올림픽에 일부 경기장을 교차로 사용하는 이른바 ‘분산개최’ 방안을 제안하자 평창올림픽 조직위측과 일부 평창시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박건만 평창동계올림픽 홍보전문위원은 지난 8일 오후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분산개최에 반대한다”며 “지금까지 저희는 신설 경기장이 6개인데 지난 10월에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착공을 마지막으로 해서 모든 경기장이 다 착공이 돼 있는 상태이다. 지금 슬라이딩 센터의 경우에는 12.5% 되는 공정률을 보이고 있고, 이미 벌목이 끝난 상태에서 순조롭게 경기장(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런 입장에서 굳이 다른 나라에 가서 분산개최 할 용의가 없다”고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박건만 위원은 “지금 일본이라는 표현도 IOC에서는 저희한테 한 적이 없고 다른 나라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며 “지금 저희는 지역 정서라는 것도 무시를 못한다. 지난 10년간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을 했고, 10년 동안 공들여 우리가 유치한 건데, 저희가 자체내에서 큰 문제가 발생돼서 분산개최를 하는 것도 아니고 IOC의 입장에서 저희 보고 분산개최를 하라고 하면 저희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박건만 위원은 이같은 IOC의 제안 배경에 대해 “지금 동계올림픽이나 하계올림픽, 예전과 같이 올림픽을 유치하려는 도시가 예전보다는 많이 줄어들고 있고, 열기도 식고 있다. 경비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라며 “2022년도 동계올림픽도 강력한 후보였던 노르웨이 오슬로가 지난번에 포기를 했다. 그래서 IOC가 위기김을 느낀 게 아닌가 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박건만 위원은 “(IOC가)개혁안을 마련해서 다국가, 다도시로 하게 되면 경비를 크게 절감하면서 올림픽을 유치하려는 붐이 일어나지 않을까 하고 IOC가 개혁안을 내놓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건만 위원은 국내 다른 지역의 경기장을 사용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그것은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박건만 위원은 “그러나 이것은 저희가 생각한다고 되는 게 아니고 IOC와 당연히 협의를 해야 되는 상황이고, IOC는 지금 전혀 그런 쪽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안을 내놓은 게 없다”며 “저희가 총회가 내일(9일) 끝나고 그쪽에서 정확히 저희에게 제안을 해 올 거 같은데 그것을 보고 저희 입장을 정리해서 IOC와 얘기를 해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일본과의 분산개최는 반대하지만 국내 분산개최를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부 시민단체에서 나오고 있다.
유성철 강원도시민사회단체 사무처장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일본과의 분산개최 문제는 너무 갑작스러운 제안이고, 충분한 논의가 이뤄지지 않은 사안이기 때문에 현실성 있는 제안은 아니다”라며 “국제 분산개최는 국내 분산개최 문제와는 완전히 다른 문제”라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유성철 사무처장은 국내 분산개최에 대해서는 “강원도가 재정압박 문제가 너무 심각한 상황이고, 내년에만 동계올림픽 때문에 1000억원 이상 빚을 내야 한다. 이건 내년으로 끝나지 않고 당장 올해 강원도의회 예산 심의하는 과정에서 민생복지 예산들이 줄줄이 삭감되고 있는데 동계올림픽의 영향이 분명히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성철 사무처장은 “현재는 명분보다는 실리를 추구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보고, 만약 이 부분이 안 된다고 주장하시는 분들은 반대만 할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재정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건지 제안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라며 “분산개최 부분은 개ㆍ폐회식장 문제를 포함해 활강경기장 문제 등 국내에는 어디든지 다 고려 대상이 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성철 사무처장은 “기존에 저희가 분산개최를 주장할 때 강원도나 조직위원회에서 얘기했던 가장 반대하는 논리들이 IOC에서 변경이 불가능하다고 주장을 한다는 것이었는데 이번에 일본까지 분산개최 제안을 하고 있는 마당에 국내 분산개최 하는 부분은 IOC가 당연히 받아들일 것이고 문제가 전혀 안 될 것이라고 보는 것”이라고 밝혔다.
강원도시민사회단체, “일본 분산개최는 반대, 국내 분산개최는 검토해봐야”
[시민일보=전용혁 기자]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이 2018 평창동계올림픽과 2020년 도쿄하계올림픽에 일부 경기장을 교차로 사용하는 이른바 ‘분산개최’ 방안을 제안하자 평창올림픽 조직위측과 일부 평창시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박건만 평창동계올림픽 홍보전문위원은 지난 8일 오후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분산개최에 반대한다”며 “지금까지 저희는 신설 경기장이 6개인데 지난 10월에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착공을 마지막으로 해서 모든 경기장이 다 착공이 돼 있는 상태이다. 지금 슬라이딩 센터의 경우에는 12.5% 되는 공정률을 보이고 있고, 이미 벌목이 끝난 상태에서 순조롭게 경기장(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런 입장에서 굳이 다른 나라에 가서 분산개최 할 용의가 없다”고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박건만 위원은 “지금 일본이라는 표현도 IOC에서는 저희한테 한 적이 없고 다른 나라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며 “지금 저희는 지역 정서라는 것도 무시를 못한다. 지난 10년간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을 했고, 10년 동안 공들여 우리가 유치한 건데, 저희가 자체내에서 큰 문제가 발생돼서 분산개최를 하는 것도 아니고 IOC의 입장에서 저희 보고 분산개최를 하라고 하면 저희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박건만 위원은 이같은 IOC의 제안 배경에 대해 “지금 동계올림픽이나 하계올림픽, 예전과 같이 올림픽을 유치하려는 도시가 예전보다는 많이 줄어들고 있고, 열기도 식고 있다. 경비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라며 “2022년도 동계올림픽도 강력한 후보였던 노르웨이 오슬로가 지난번에 포기를 했다. 그래서 IOC가 위기김을 느낀 게 아닌가 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박건만 위원은 “(IOC가)개혁안을 마련해서 다국가, 다도시로 하게 되면 경비를 크게 절감하면서 올림픽을 유치하려는 붐이 일어나지 않을까 하고 IOC가 개혁안을 내놓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건만 위원은 국내 다른 지역의 경기장을 사용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그것은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박건만 위원은 “그러나 이것은 저희가 생각한다고 되는 게 아니고 IOC와 당연히 협의를 해야 되는 상황이고, IOC는 지금 전혀 그런 쪽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안을 내놓은 게 없다”며 “저희가 총회가 내일(9일) 끝나고 그쪽에서 정확히 저희에게 제안을 해 올 거 같은데 그것을 보고 저희 입장을 정리해서 IOC와 얘기를 해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일본과의 분산개최는 반대하지만 국내 분산개최를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부 시민단체에서 나오고 있다.
유성철 강원도시민사회단체 사무처장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일본과의 분산개최 문제는 너무 갑작스러운 제안이고, 충분한 논의가 이뤄지지 않은 사안이기 때문에 현실성 있는 제안은 아니다”라며 “국제 분산개최는 국내 분산개최 문제와는 완전히 다른 문제”라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유성철 사무처장은 국내 분산개최에 대해서는 “강원도가 재정압박 문제가 너무 심각한 상황이고, 내년에만 동계올림픽 때문에 1000억원 이상 빚을 내야 한다. 이건 내년으로 끝나지 않고 당장 올해 강원도의회 예산 심의하는 과정에서 민생복지 예산들이 줄줄이 삭감되고 있는데 동계올림픽의 영향이 분명히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성철 사무처장은 “현재는 명분보다는 실리를 추구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보고, 만약 이 부분이 안 된다고 주장하시는 분들은 반대만 할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재정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건지 제안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라며 “분산개최 부분은 개ㆍ폐회식장 문제를 포함해 활강경기장 문제 등 국내에는 어디든지 다 고려 대상이 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성철 사무처장은 “기존에 저희가 분산개최를 주장할 때 강원도나 조직위원회에서 얘기했던 가장 반대하는 논리들이 IOC에서 변경이 불가능하다고 주장을 한다는 것이었는데 이번에 일본까지 분산개최 제안을 하고 있는 마당에 국내 분산개최 하는 부분은 IOC가 당연히 받아들일 것이고 문제가 전혀 안 될 것이라고 보는 것”이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