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아파트값 인천 추월… 서울·경기 이어 전국 3위
2억4463만원… 1년새 3.8%↑
뉴시스
| 2015-02-03 16:18:21
인천, 악재 겹쳐 6위로 떨어져
지난해 대구 아파트값이 가파르게 치고 오르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횡보하고 있는 인천 지역 아파트값을 추월했다.
대구가 아파트 가격으로 인천을 앞지른 것은 지난 2000년 이후 14년만이다. 부산도 3년 연속 아파트 가격에서 인천을 앞섰다.
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대구는 아파트 가구동 평균가격이 2억4463만원으로 전년 2억3562만원보다 3.8% 상승하며 전국에서 3번째로 아파트값이 비싼 곳으로 집계됐다.
1, 2위는 서울(5억3086만원)과 경기(2억9230만원)이다.
반면 인천은 2억3707만원으로 전년 2억2999만원보다 3.0% 증가하는 데 그쳐 4위 부산(2억4411만원), 5위 세종(2억3784만원)에도 뒤쳐져 6위에 올랐다.
부동산114는 대구 아파트값이 인천을 추월한 이유로 ▲지방 대도시 부동산 시장 활황 ▲우수학군 중심의 사교육 시장 열풍 ▲인천경제자유구역의 부진 등 3가지를 꼽았다.
사교육 시장 성장도 가격 상승을 견인했다. 대구 수성구 범어동 일대에 경신·대륜·경북고 등 학군이 매매 수요에 영향을 미치고,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사설학원들이 타운을 형성하면서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부산도 마찬가지로 동래구, 해운대 신시가지 일대 등에 학부모 수요자들이 몰려 가격 상승을 부추겼다.
반면 인천의 경우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서 부동산 시장이 들썩였지만 금융위기 이후 개발 지연, 미분양 등 악재가 터지면서 지방 대도시들에 밀렸다. 특히 송도를 제외하면 청라와 영종 등은 갈길이 멀다는 분석이다.
다만 대구·부산 등을 비롯한 지방 대도시 아파트값은 차츰 안정기에 점어들 전망이다.
부동산114 김은진 리서치센터 팀장은 “금융위기 이후 지방 아파트 시장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지만 단기간 많은 물량이 발생하며 공급초과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올해부터는 지방 대도시들도 급등기를 벗어나 일정부분 안정세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