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은 ‘철회’...김무성은 ‘고집’
고하승
| 2015-09-21 15:01:44
요즘 여야 정당 대표들은 한 울타리 속에서 한 솥밥을 먹는 가족들의 공세로 엄청난 수난을 겪고 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제안한 오픈프라이머리는 당내 친박계 의원들로부터 ‘물 건너갔다’는 지적과 함께 그에 따른 책임론까지 불거지고 있는 상황이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재신임투표’제안은 비노계 의원들로부터 ‘셀프재신임’이라는 비아냥거림을 받고 있다.
먼저 새정치연합의 ‘재신임투표’를 둘러싼 갈등부터 살펴보자.
비노계 문병호 의원은 문 대표의 재신임투표에 대해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셀프 재신임이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고 평가절하 했다.
문 의원은 21일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 전날 열린 당무위원회·의원총회 연석회의에 불참한 이유에 대해 “문 대표께서 추진했던 재신임 투표는 당의 분열을 확대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만약에 대표가 재신임 투표를 강행한다면 저희는 그 절차에 관여하지도 않겠고, 또 그 결과에 귀속되지도 않겠다, 그런 입장을 정했다. 그런 입장에서 안 간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이 같이 지적했다.
이어 그는 “연석회의의 결과도 인정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전날 연석회의에선 재신임투표 철회를 문 대표에게 요구하는 결정을 내렸다. 그런데 문 의원은 바로 이런 결정을 인정할 수 없다고 한 것이다.
물론 문 의원의 이 같은 발언이 비노계 전체 의견을 대변한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전날 연석회의 결의안 도출과정에서 비노계 의견이 포함되지 않은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실제 안철수 전 공동대표를 비롯해 박지원 전 원내대표, 김한길 전 공동대표, 주승용 최고위원 등이 불참했고, '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에서는 노웅래 의원의 모습만 눈에 띄었을 뿐, 다른 의원들은 모두 불참했다.
그런데도 문 대표는 이날 김성수 새정치연합 대변인을 통해 "어제 당무위원 국회의원 연석회의 결의를 존중한다"며 "제 뜻은 거둬들이고 모두의 충정을 겸허히 받아 들이겠다"고 밝혔다.
이런 문 대표의 모습은 마치 혼자 북 치고 장구 치는 모양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 ‘재신임투표’결정은 당 지도부나 당내 공식 기구에 의해 내려진 결정이 아니라 문 대표 혼자 어느 날 갑자기 내린 결정이었다. 그 방식도 공적기구에 의해 정해진 것이 아니라 문 대표 스스로 제안한 것이었다. 연석회의 결과를 재신임으로 받아들겠다고 선언한 것 역시 문 대표의 ‘나 홀로’결정이었다.
그럼에도 결과적으로 문 대표가 논란이 되고 있는 재신임투표를 ‘철회’함에 따라 이를 둘러싼 당내 갈등은 일단 봉합되는 양상을 보일 것이다.
그러면 새누리당의 오픈프라이머리는 어떤가.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지난 18일 국회에서 국정감사 대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사실상 오픈프라이머리는 사실상 ‘물 건너갔다’고 진단했다.
실제 그는 "오픈프라이머리는 야당이 합의를 해서 같이 추진해야만 완벽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데 새정치민주연합에서 공천 혁신안을 통과시키는 바람에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 생겼고, 새로운 사정 변경이 생겼다"면서 "국민공천제를 기초로 한 국민 뜻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국민 상향식 공천 기본정신을 받는 제3의 길을 빨리 모색해야 할 때가 왔다"고 밝혔다.
친박 핵심 홍문종 의원도 21일 한 방송에 출연, "오픈 프라이머리는 (새정치민주연합이)공천혁신안을 통과시킴으로써 죽은, 선택할 수 없는 제도가 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오픈 프라이머리는 야당의 동의 없이 될 수 없는 것”이라며 “만약 우리 단독으로 할 경우 역선택의 문제, 선거 비용의 문제, 공정한 경선 관리 문제 등 많은 문제들이 노정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따라서 오픈프라이머리 추진을 철회하고 다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런데도 김무성 대표는 문재인 대표와의 회동담판 가능성을 언급하는 등 좀처럼 물러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문재인 대표가 재신임투표를 ‘철회’한 것과 달리, 김무성 대표는 여전히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자신의 ‘고집’을 꺾지 않고 있는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