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리베이트’의혹을 보면서

고하승

| 2016-06-12 14:30:34

편집국장 고하승


국민의당 김수민·박선숙 의원을 둘러싼 '리베이트 의혹'이 점입가경(漸入佳境)이다. 급기야 안철수 상임공동대표의 책임론까지 불거지고 있는 상황이다.

'새정치'를 표방하던 국민의당이 창당 4개월 만에 총체적 위기에 놓인 것이다.

앞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9일 4.13총선 과정에서 억대의 불법 정치자금을 수수한 혐의로 국민의당 비례대표 김수민 의원을 검찰에 고발했다.

그때까지만 해도 특정 개인의 비리이거나 단순한 실수일거라고 생각했는데, 아무래도 그게 아닌 것 같다.

국민의당 홍보를 대행한 S사는 총선 당시 국민의당에 홍보비 11억 원을 받아 광고를 집행했고, 국민의당은 광고대행 수수료로 S사에 1억7000만 원을 지급했다. 이 가운데 약 70%에 해당하는 1억2820억 원이 김수민 의원이 대표로 있던 브랜드호텔과 국민의당 TF팀으로 유입된 의혹을 받고 있다.

실제 S업체 관계자는 "김수민 의원 측이 광고를 연결해 주는 조건으로 대행료의 70%를 요구했다"며, "6820만 원은 현금으로, 나머지 6000만 원은 체크카드로 국민의당 TF팀 관계자에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선거공보제작업체인 B사로 부터도 리베이트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게 선거공보제작업체 B사와 TV광고대행업체 S사로부터 받은 리베이트, 즉 김수민 의원이 대표로 있던 '브랜드호텔' 계좌로 보낸 리베이트가 무려 2억3820만 원에 달한다.

그렇다면 2억3820만 원은 어디에 사용된 것일까?

그리고 그 과정에 혹시 당시 당 사무총장이었던 박선숙 의원이 직간접으로 개입하지는 않았을까?

특히 총선 당시 비례대표 후보 공천 신청을 하지 않았는데도 김수민 의원이 당선권인 비례대표 7번에 공천된 배경은 무엇일까?

이런 궁금증이 날이 갈수록 증폭되고 있는 것이다.

당시 김수민 의원을 영입한 인사는 김영환 전 인재영입위원장(현 사무총장)으로, 김 전 위원장은 서울 숙명여대 시각영상디자인학과 지도교수 A 씨에게 김 의원을 소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김 의원을 천거한 지도교수 A 씨는 이번 리베이트 사건에 연루돼 검찰에 출국금지를 당한 상태다.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워졌을 가능성, 그러니까 김수민 의원을 영입하는 과정부터 잘못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더구나 공천과정에 안철수 대표가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미쳤을지 모르는 정황까지 드러난 마당이다. 실제 안철수 대표와 김수민 의원이 4.13 총선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 후보자추천위원회' 구성 나흘 전에 따로 만난 사실이 알려졌다.

20대 총선 준비가 한창이던 지난 3월 15일 김수민 의원은 당시 선거대책위원회 홍보위원장 자격으로 서울 노원구에 있는 안철수 대표 선거사무소를 찾았다고 한다.

김수민 의원이 안 대표를 만난 자리에는 당시 사무총장이던 박선숙 의원도 함께 했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이들 세 사람이 만난 시점은 바로 국민의당이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 후보자추천위원회'를 구성하기 불과 나흘 전이다. 실제 국민의당은 3월 19일 '비례대표 후보자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천근아 연세대 교수를 위원장에 선임하고 비례대표 공천에 박차를 가하고 있었다.

그리고 불과 사흘만인 같은 달 23일 국민의당은 비례대표 명단을 발표하면서 공천신청을 하지 않은 김 의원을 당선 가능권인 7번에 전면 배치했다. 당시 비례대표후보추천위원 중에는 왕주현 당 선관위 총괄본부장(현 사무부총장)도 있었다. 물론 그 역시 김수민, 박선숙 의원과 함께 선관위가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고발당한 상태다.

연루 의혹을 받는 자들 모두가 안철수 대표의 측근들이고, 안 대표가 직접 김수민 의원을 면담까지 한 것이다. 따라서 이런 의혹들이 모두 사실로 밝혀질 경우 안 대표는 차기대선출마는커녕 정계은퇴까지 고려해야할지 모른다.

물론 국민의당도 뿌리채 흔들리고 말 것이다.

문제는 그로인해 새정치와 중도정치를 기대했던 국민이 상처를 받게 될 것이란 점이다. 국민은 이번 선거 과정에서 국민의당을 통해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의 ‘패권주의’에 대해 경고를 내렸다. 진보와 보수의 극단적 대결정치에 대해서도 심판했다.

그런데 믿었던 국민의당은 이번 리베이트 사건으로 국민에게 상처를 주고 말았다. 그렇다고 해서 ‘새정치’와 ‘중도정치’의 깃발을 여기서 내릴 수는 없는 노릇이다. 새로운 주자가 필요할지도 모른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