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엽, “국정교과서, 합의점 못 찾으면 표 대결이라도 해야”

“부당한 일임에도 깜깜이로 일관해, 잘못된 점 지적”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6-06-18 15:43:28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국민의당 유성엽 의원이 정부의 국정교과서 추진 문제와 관련, “제대로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표 대결이라도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 의원은 17일 오전 PBC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해 부당한 일임에도 더더욱 세부적으로도 비공개, 깜깜이로 일관하는 것에 대한 잘못한 점을 지적도 해서 전향적인 자세전환을 촉구해 나가면서 끝내 이뤄지지 않는다면 우리가 해 볼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봐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 문제도 정부 여당의 전향적인 자세 전환이 없으면 끝내 논쟁적인 쟁점으로 자리를 잡을 것”이라며 “당초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도 많은 문제여서 국민들이 많은 반대를 했었고, 우리 상임위에서도 야당측에서는 많은 반대를 했던 사안인데 국정화를 하면서도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작년 11월 황우여 교육부 장관께서는 역사교과서 집필진을 공개하고, 집필부터 발행까지 과정 전체를 투명하게 운영하겠다고 약속을 했는데 잘못돼가고 있는 것인지 투명한 운영을 천명해놓고 이마저도 깜깜이로 진행하고 있다”며 “집필과정은 물론 집필진도 전혀 알 수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 문제에 관해서도 누리과정과 마찬가지로 정부 여당에서 종래의 입장만 고집하지 말고 국민들 뜻을 헤아리면서 국민들과 소통하면서 전향적인 자세 전환을 해야 할 것”이라며 “야당측 입장에서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시대역행적이고 잘못하는 일이라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편 그는 박근혜정부의 대학 구조조정 방침에 대해서는 “대학의 자유를 현재보다 대폭 신장시키면서도 대학입학 학생 숫자가 매년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대학의 구조조정은 필요하다”며 “대학 스스로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구조조정도 필요한데 현실적으로 속성상 대학에 맡겨서 충분히 기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정부가 나서야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 19대 국회에서 자동 폐기된 대학구조개혁법에 대해서도 “현재 찬반 양론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대학구조조정은 불가피한 부분이 있다”며 “대학구조조정을 장려하고 촉진하고 현실적인 길을 열어갈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구조조정을 적극 유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대학구조조정 관련법을 무조건 반대만 하는 것도 능사는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