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확산되는 ‘김수민게이트’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6-06-21 11:46:42
검찰, 김수민 23일 소환조사...박선숙도 소환 예정
[시민일보=전용혁 기자]국민의당이 지난 총선 과정에서 선거 홍보대행업체와 비정상적인 계약을 맺은 정황이 속속 드러나면서 검찰의 수사도 속도를 내는 등 ‘김수민게이트’의혹이 갈수록 확산되는 양상이다.
21일 서울서부지검 형사5부(부장 김도균)에 따르면, 검찰은 국민의당이 역량이 부족한 대행업체와 계약해 선거보전비용을 부풀리고 리베이트를 돌려받은 것으로 판단하고, 당 관계자들이 얼마나 깊게 관여했는지를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검찰은 당에서 원비용보다 부풀린 후 (선관위에) 보전비용을 요구했는지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왕주현 사무부총장이 일감을 준 선거공보 인쇄업체 B사는 왕 부총장의 친구가 운영하는 업체인데다, 김수민 의원이 대표로 있던 브랜드호텔이 맡았던 TV광고는 표절 의혹이 제기돼 폐기됐던 것으로 드러난 상태다. B사는 국민의당과 지난 3월 15일 20억 9000만원 규모의 인쇄 계약을 맺었고 이틀 뒤에 브랜드호텔에 홍보기획 용역비 명목으로 1억 1000만원을 지불했다.
검찰은 B사와 국민의당이 실제 액수보다 부풀려 계약을 맺은 후 B사가 자신의 이익을 제외한 돈을 브랜드호텔을 통해 건넨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전날 검찰은 업체 관계자 2~3명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이런 상황에서 김수민 의원이 브랜드호텔 대표직에서 사직한 3월 24일 이후에도 회사 대표 이메일 계정과 개인 이메일 계정으로 광고 대행업체 S사 등에 홍보 업무를 지시하고, 브랜드호텔이 맡고 있는 업무에 대해서도 계속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김 의원 신분은 국민의당 선거대책위 홍보위원장이자 비례대표 후보 7번이었다는 점에서 "리베이트는 국민의당과 관련이 없는 업체끼리의 문제"라는 당의 기존 해명과 배치되는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국민의당은 지금까지 "김 의원은 지난 3월 24일 브랜드호텔 대표직에서 물러났고, 이후 브랜드호텔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고 해명해왔다.
하지만 김 의원은 3월 27일 회사 대표 이메일 계정으로 광고 대행업체 S사 김모 대표에게 '브랜드호텔 김수민입니다'라는 제목의 이메일을 보냈으며, 이 메일에서 김 의원은 포털 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에 광고할 온라인 배너 수정안을 요구했다. 하루 뒤인 28일에는 개인 메일 계정으로 S사 김 대표에게 "다음은 12일 오후에, 네이트는 7일과 12일에 광고를 올려달라"고 요구한 하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브랜드호텔은 계약상으로는 S사의 하도급업체였지만 실질적으론 '갑(甲)'의 지위에서 지시를 내린 셈이다.
안철수 대표는 파문이 가라앉지 않고 계속 커지자 전날 최고위원 회의에서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국민 여러분께 이번 일로 걱정을 끼쳐드린 것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지난 10일에 이어 열흘 만에 다시 한 번 사과했다.
하지만 파문은 좀처럼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날마다 새로운 의혹이 불거져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당 관계자도 “논란의 핵심은 당과 계약을 맺은 인쇄업체로 맞춰져 있는데 실제 업체를 찾아가보니 석연치 않다는 거 아니냐”면서 “우리 당과 20억 9000만 원 상당의 계약을 맺고, 비례대표 공보물 2200여만 부를 찍어냈지만, 업체 직원은 단 1명뿐인, 이른바 '1인 사업장'이었다. 문제가 된 업체는 두 개의 업체가 한 사무실을 쓸 만큼 영세하다. 전국 253개 선거구에 공보물을 인쇄하고 배달할 능력을 갖춘 곳으로 보기는 어려워, 업계 관계자들도 계약에 의문을 표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검찰은 총선에서 홍보비 리베이트 명목으로 불법 정치자금을 챙긴 의혹을 받고 있는 김수민 의원을 23일 소환해 조사한다.
검찰은 김수민 의원의 조사가 끝나는 대로 총선 당시 회계책임자로 있었던 박선숙 의원도 소환해 사례비 수수를 지시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국민의당이 지난 총선 과정에서 선거 홍보대행업체와 비정상적인 계약을 맺은 정황이 속속 드러나면서 검찰의 수사도 속도를 내는 등 ‘김수민게이트’의혹이 갈수록 확산되는 양상이다.
21일 서울서부지검 형사5부(부장 김도균)에 따르면, 검찰은 국민의당이 역량이 부족한 대행업체와 계약해 선거보전비용을 부풀리고 리베이트를 돌려받은 것으로 판단하고, 당 관계자들이 얼마나 깊게 관여했는지를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검찰은 당에서 원비용보다 부풀린 후 (선관위에) 보전비용을 요구했는지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왕주현 사무부총장이 일감을 준 선거공보 인쇄업체 B사는 왕 부총장의 친구가 운영하는 업체인데다, 김수민 의원이 대표로 있던 브랜드호텔이 맡았던 TV광고는 표절 의혹이 제기돼 폐기됐던 것으로 드러난 상태다. B사는 국민의당과 지난 3월 15일 20억 9000만원 규모의 인쇄 계약을 맺었고 이틀 뒤에 브랜드호텔에 홍보기획 용역비 명목으로 1억 1000만원을 지불했다.
검찰은 B사와 국민의당이 실제 액수보다 부풀려 계약을 맺은 후 B사가 자신의 이익을 제외한 돈을 브랜드호텔을 통해 건넨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전날 검찰은 업체 관계자 2~3명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이런 상황에서 김수민 의원이 브랜드호텔 대표직에서 사직한 3월 24일 이후에도 회사 대표 이메일 계정과 개인 이메일 계정으로 광고 대행업체 S사 등에 홍보 업무를 지시하고, 브랜드호텔이 맡고 있는 업무에 대해서도 계속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김 의원 신분은 국민의당 선거대책위 홍보위원장이자 비례대표 후보 7번이었다는 점에서 "리베이트는 국민의당과 관련이 없는 업체끼리의 문제"라는 당의 기존 해명과 배치되는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국민의당은 지금까지 "김 의원은 지난 3월 24일 브랜드호텔 대표직에서 물러났고, 이후 브랜드호텔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고 해명해왔다.
하지만 김 의원은 3월 27일 회사 대표 이메일 계정으로 광고 대행업체 S사 김모 대표에게 '브랜드호텔 김수민입니다'라는 제목의 이메일을 보냈으며, 이 메일에서 김 의원은 포털 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에 광고할 온라인 배너 수정안을 요구했다. 하루 뒤인 28일에는 개인 메일 계정으로 S사 김 대표에게 "다음은 12일 오후에, 네이트는 7일과 12일에 광고를 올려달라"고 요구한 하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브랜드호텔은 계약상으로는 S사의 하도급업체였지만 실질적으론 '갑(甲)'의 지위에서 지시를 내린 셈이다.
안철수 대표는 파문이 가라앉지 않고 계속 커지자 전날 최고위원 회의에서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국민 여러분께 이번 일로 걱정을 끼쳐드린 것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지난 10일에 이어 열흘 만에 다시 한 번 사과했다.
하지만 파문은 좀처럼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날마다 새로운 의혹이 불거져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당 관계자도 “논란의 핵심은 당과 계약을 맺은 인쇄업체로 맞춰져 있는데 실제 업체를 찾아가보니 석연치 않다는 거 아니냐”면서 “우리 당과 20억 9000만 원 상당의 계약을 맺고, 비례대표 공보물 2200여만 부를 찍어냈지만, 업체 직원은 단 1명뿐인, 이른바 '1인 사업장'이었다. 문제가 된 업체는 두 개의 업체가 한 사무실을 쓸 만큼 영세하다. 전국 253개 선거구에 공보물을 인쇄하고 배달할 능력을 갖춘 곳으로 보기는 어려워, 업계 관계자들도 계약에 의문을 표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검찰은 총선에서 홍보비 리베이트 명목으로 불법 정치자금을 챙긴 의혹을 받고 있는 김수민 의원을 23일 소환해 조사한다.
검찰은 김수민 의원의 조사가 끝나는 대로 총선 당시 회계책임자로 있었던 박선숙 의원도 소환해 사례비 수수를 지시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