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항 장래 수요와 안전 해결할 수 있는 안 찾아낸 것”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6-06-23 11:13:53
최정호 차관, “확장하는 개념 아닌 새롭게 공항 건설하는 차원”
박지원 원내대표, “정부는 잘못 인정하고 국민 설득해야 해”
심상정 대표, “양식 있는 전문가라면 자연스럽게 도달되는 결론”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정부의 신공항 백지화 방침을 두고 해당 지역 간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정호 국토교통부 차관이 “공항의 장래 수요와 안전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안을 찾아낸 것”이라고 평가했다.
최 차관은 23일 오전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에는 김해공항을 포함한 영남지역의 항공수요가 크게 늘고 있고 이것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 그리고 또 안전문제가 있는데 북측에 돗대산이라는 산으로 인해 이 착륙에 문제가 있어서 이걸 어떻게 뛰어넘을 것이냐 해서 기존 방안을 검토하면서 새로운 발상이 필요한 상황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기존 부지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방안만을 제한적으로, 주로 그때는 확장 위주의 방안 위주로 검토하는 과정에서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고, 이번에는 확장하는 개념이 아니라 새롭게 공항을 건설하는 차원에서 보다 폭넓게 보고 그런 차원에서 하다보니까 새로운 안이 이번에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김해공항에는)활주로 두 개를 군과 민간 항공기가 동시에 쓰고 있는데 이번 활주로는 군 공항에 전혀 영향이 없는 새로운 국제선 전용의 민간 항공기 위주의 활주로를 건설하기 때문에 현재 군의 공항에 문제가 전혀 없이 총 3800만명에 달하는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건설하게 된다”며 “일부에서 얘기하는 군의 이전 문제와는 관련 없이도 장래 항공수요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의 새로운 공항을 건설하게 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정부의 결정에 대해 정치권내에서는 엇갈린 평가가 나오고 있다.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지난 22일 오후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정부는 잘못을 인정하고 국민을 설득해야 할 것”이라고 질타했다.
박 원내대표는 “오늘(22일) 최고의 명언은 ‘김해공항이 신공항이다. 공약 지켰다’라고 청와대에서 얘기한 것인데, 어떻게 해서 김해가 신공항인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10년 동안 결국 돌고 돌아서 김해공항 확장이라고 하면 지금까지 가덕도, 부산시민들과 밀양을 주장했던 다른 지역, TK 및 울산, 이런 데 분들은 뭐라고 얘기를 해야 하는가”라고 지적했다.
또 그는 “김해공항은 부적격하고 국제 대형공항으로서는 안 되니까 새로운 공항을 만들겠다고 했고, 그 후보지로 가덕도와 밀양을 선정해서 외국 용역회사에다가 용역을 맡겼다”며 “결국 5개 지역 광역 시도지사들이 ‘용역 결과에 승복하겠다’고 합의하고 나서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분열과 다툼이 있었는가. 그리고 대통령은 말씀 한 마디 없이 어디로 또 꼭꼭 숨고 이게 그대로 될 일인가”라고 비난했다.
그는 “상임위가 국토교통위인데 반드시 정부에서도 보고를 해야 하고 여러 가지 의문점에 대해서 국회의원들은 따져보고 또 정부는 해명할 게 있으면 해명해야 할 것”이라며 “대정부질문을 통해서도 이런 문제점을 지적하고 잘못된 것은 발본색원시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이번 신공항 결정과 관련, “양식 있는 전문가라면 누구나 자연스럽게 도달되는 결론”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심 대표는 이날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영남권 신공항은 불순한 정치논리와 맹목적 개발주의가 만들어낸 신기루이기 때문에 이것을 좇는 과정에서 치러야 할 희생이 너무 컸다”면서 “가덕도든 밀양이든 잃을 것은 너무나 크고 분명했기 때문에 박근혜정부가 결자해지를 하도록 촉구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영남권 신공항은 이미 2011년에 죽은 공항이 됐는데 이미 백지화됐던 것인데 이것을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다시 들고 나오면서 논쟁에 불을 지폈다”며 “이것은 신공항이 논란의 중심이 아니고 10조원이 넘는 국비를 유치하는 경쟁이 과열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후유증이 큰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죽은 신공항을 대선 공약으로 다시 들고 나와서 논쟁에 불을 지핀 박근혜 대통령부터 나서서 이 일을 수습을 해야 한다”며 “이번 사태에서 우리 사회가 교훈을 얻어야 한다. 지금 눈앞에 해답을 찾는데 왜 그렇게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었는지, 또 그 판단마저 왜 수십억원의 세금을 들여 외국사람들의 힘을 빌려와야 했는지, 진지하게 답해야 될 잘못”이라고 촉구했다.
박지원 원내대표, “정부는 잘못 인정하고 국민 설득해야 해”
심상정 대표, “양식 있는 전문가라면 자연스럽게 도달되는 결론”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정부의 신공항 백지화 방침을 두고 해당 지역 간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정호 국토교통부 차관이 “공항의 장래 수요와 안전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안을 찾아낸 것”이라고 평가했다.
최 차관은 23일 오전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에는 김해공항을 포함한 영남지역의 항공수요가 크게 늘고 있고 이것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 그리고 또 안전문제가 있는데 북측에 돗대산이라는 산으로 인해 이 착륙에 문제가 있어서 이걸 어떻게 뛰어넘을 것이냐 해서 기존 방안을 검토하면서 새로운 발상이 필요한 상황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기존 부지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방안만을 제한적으로, 주로 그때는 확장 위주의 방안 위주로 검토하는 과정에서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고, 이번에는 확장하는 개념이 아니라 새롭게 공항을 건설하는 차원에서 보다 폭넓게 보고 그런 차원에서 하다보니까 새로운 안이 이번에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김해공항에는)활주로 두 개를 군과 민간 항공기가 동시에 쓰고 있는데 이번 활주로는 군 공항에 전혀 영향이 없는 새로운 국제선 전용의 민간 항공기 위주의 활주로를 건설하기 때문에 현재 군의 공항에 문제가 전혀 없이 총 3800만명에 달하는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건설하게 된다”며 “일부에서 얘기하는 군의 이전 문제와는 관련 없이도 장래 항공수요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의 새로운 공항을 건설하게 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정부의 결정에 대해 정치권내에서는 엇갈린 평가가 나오고 있다.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지난 22일 오후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정부는 잘못을 인정하고 국민을 설득해야 할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지금까지 10년 동안 결국 돌고 돌아서 김해공항 확장이라고 하면 지금까지 가덕도, 부산시민들과 밀양을 주장했던 다른 지역, TK 및 울산, 이런 데 분들은 뭐라고 얘기를 해야 하는가”라고 지적했다.
또 그는 “김해공항은 부적격하고 국제 대형공항으로서는 안 되니까 새로운 공항을 만들겠다고 했고, 그 후보지로 가덕도와 밀양을 선정해서 외국 용역회사에다가 용역을 맡겼다”며 “결국 5개 지역 광역 시도지사들이 ‘용역 결과에 승복하겠다’고 합의하고 나서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분열과 다툼이 있었는가. 그리고 대통령은 말씀 한 마디 없이 어디로 또 꼭꼭 숨고 이게 그대로 될 일인가”라고 비난했다.
그는 “상임위가 국토교통위인데 반드시 정부에서도 보고를 해야 하고 여러 가지 의문점에 대해서 국회의원들은 따져보고 또 정부는 해명할 게 있으면 해명해야 할 것”이라며 “대정부질문을 통해서도 이런 문제점을 지적하고 잘못된 것은 발본색원시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이번 신공항 결정과 관련, “양식 있는 전문가라면 누구나 자연스럽게 도달되는 결론”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심 대표는 이날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영남권 신공항은 불순한 정치논리와 맹목적 개발주의가 만들어낸 신기루이기 때문에 이것을 좇는 과정에서 치러야 할 희생이 너무 컸다”면서 “가덕도든 밀양이든 잃을 것은 너무나 크고 분명했기 때문에 박근혜정부가 결자해지를 하도록 촉구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영남권 신공항은 이미 2011년에 죽은 공항이 됐는데 이미 백지화됐던 것인데 이것을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다시 들고 나오면서 논쟁에 불을 지폈다”며 “이것은 신공항이 논란의 중심이 아니고 10조원이 넘는 국비를 유치하는 경쟁이 과열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후유증이 큰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죽은 신공항을 대선 공약으로 다시 들고 나와서 논쟁에 불을 지핀 박근혜 대통령부터 나서서 이 일을 수습을 해야 한다”며 “이번 사태에서 우리 사회가 교훈을 얻어야 한다. 지금 눈앞에 해답을 찾는데 왜 그렇게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었는지, 또 그 판단마저 왜 수십억원의 세금을 들여 외국사람들의 힘을 빌려와야 했는지, 진지하게 답해야 될 잘못”이라고 촉구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