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안철수 책임론’? 그 정도로 큰 문제는 아니야”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6-06-29 11:16:10

이용주 법률위원장, “미온적 대처에 대해 책임 묻자는 취지”
김관영 부대표, “안철수 대표, 책임지겠다는 표현만 했을 뿐”
이용호 의원, “다른 당에 비해 굉장히 강한 처벌 조항”


[시민일보=전용혁 기자]국민의당이 4.13 총선 홍보비 리베이트 의혹과 관련, 해당자들의 기소시 당원권 정지 방침을 발표했지만 안철수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 책임론도 제기되고 있다.

국민의당 이용주 법률위원장은 이같은 당 지도부 책임론에 대해 29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대표직 유지하면서 이 사태를 해결해 나가는 게 맞다는 취지로 의견이 모아졌다”며 일축하고 나섰다.

그는 “안 대표님께서 이번 사태로 인해 여러 국민들에게 죄송한 마음을 갖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이 사건 당사자들에게 어떻게 큰 잘못이 있는지는 추후 재판결과에 나오겠지만 이런 일이 있는 것만으로도 국민들에게 송구한 마음이 있기 때문에 대표로서 책임을 지겠다는 언급을 했지만 대다수 의원들이 이번 사태가 안철수 대표가 거취를 표명해야 될 정도로 큰 문제는 아니라는 입장”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일부 의원들도 안 대표의 책임론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일부 그런 의견이 있었으나 그 부분은 이번 사태가 발생한 이후 당이 좀 더 미온적으로 대처하지 않았나, 좀 더 강력하게 대처를 해서 이와 같이 파장이 커지는 걸 막았어야 하는데 미온적으로 대처한 결과에 대해 책임을 묻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서는 “지금 왕주현 부총장이나 김수민 의원, 박선숙 의원이 다 조사를 마쳤는데 추가 조사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현재 조사 결과 상태에서도 김수민ㆍ박선숙 의원, 왕주현 부총장은 다소 억울하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며 “스스로가 자신들이 한 행동들이 이게 범죄가 되느냐라는 의문이 갖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법률위원장인 저의 입장에서도 다소 절차상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이게 범죄를 구성할 정도가 되는 지에 대해서는 검찰과 의견이 다른 부분도 있다”며 “그래서 이상돈 의원이 당시 진상조사단 조사 결과를 통해서도 그런 의견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같은 당 김관영 원내수석부대표도 “(안철수 대표는)책임을 지겠다는 표현만 했을 뿐”이라며 대표직 사퇴 의사 해석을 경계했다.

김 부대표는 “안철수 대표께서 의원총회의 공개발언에서 일성으로 이 부분에 대해 본인도 책임이 있고, 책임을 회피할 생각이 전혀 없다고 했다. 그리고 구체적인 책임의 방식에 대해 최고위원들과 논의해서 이야기하겠다고 말씀을 했는데 그 이야기를 듣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당 대표를 사퇴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한 것이 사실”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치적 책임을 지겠다고 말씀하셨는데 당 대표가 정치적 책임을 지는 방법은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그런 식으로 받아들였다”며 “저희 당이 창당된 지 불과 4달 조금 넘었는데 12월까지는 저희가 당의 기반조직을 정비해서 전당대회까지 가는 수순이기 때문에 지금 당장 당 대표가 사퇴한다면 굉장히 당이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많은 의원들이 우려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그는 천정배 공동대표의 책임론에 대해서도 “일각에서는 그런 이야기가 나올 수 있지만 현실적인 면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일단은 그렇게(사퇴 불가) 결론을 냈다”고 말했다.

한편 같은 당 이용호 의원은 이번 기소시 당원권 정치 결정과 관련, “다른 당에 비해 굉장히 강한 처벌 조항”이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지난 28일 오후 tbs <색다른 시선 김종배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길게 보면 원칙을 지켜가는 것이 당으로서 대처하는 게 옳다는 판단”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당에서 나름대로 여러 가지 움직임을 보이고 최종 결론을 내서 안 대표나 우리 당 지도부에서도 죄송하다는 국민들에게 송구스럽다는 사과의 말씀도 드리고 했다”며 “앞으로 기소가 되면 당헌당규에 따라 어떤 처벌을 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여론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금은 감정적으로, 정서적으로 매우 안 좋은 상태에서는 이야기가 나올 수 있지만 이게 결국 유죄냐 무죄냐 하는 것의 문제”라며 “여론이 나쁘다고 해서 어떤 조항에도 없는 처벌을 하거나 하면 그 이후에 만일 반대가 됐을 경우에 당이 너무 서둘러서 한 것 아니냐, 하는 이야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차근차근 대응하는 게 옳다는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