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문위, 여야 증인채택 둘러싼 공방 이어져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6-10-10 09:58:11

새누리, “굳이 또 다른 논란, 정치공세 할 이유 없어”
더민주, “의혹을 덮고 넘어가면 또 다른 의혹을 낳아”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내에서 미르ㆍK스포츠재단 설립 의혹과 관련, 증인 채택 문제를 둘러싼 여야 간 공방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교문위 소속인 새누리당 염동열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은 10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미르재단 의혹의 핵심 인물로 지목된 차은택 감독 등의 증인 채택 문제 등을 두고 각각의 입장을 밝히며 설전을 벌였다.

먼저 염 의원은 “이 분에 대해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굳이 또 다른 논란과 정치공세를 할 이유는 없다”며 증인 채택에 대해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는 “증인 채택 과정 속에서 (야당이)과도한 증인을 선택함으로 인해 언론에서, 또 정치권에서 얘기하는 증인 무용론에 대한 얘기도 있었다”며 “이런 차원에서 저희들이 검토하는 과정에서 이미 야당에서는 지도부가 정치공세로 나왔고, 또 더욱이 이것은 며칠 전부터 수사가 진행됐기 때문에 수사에 맡겨서 판단하자는 게 당의 입장”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저희가 국감 일정을 잡고 여러 차계 협상을 시도해서 증인 요청을 했던 105명 중 32명쯤 채택을 하려고 했는데, 1차적으로 더민주가 반대해서 불발됐다”며 “그리고 지금 미르재단, K스포츠재단 17명이 증인채택이 안 됐다고 하는데, 저희가 요구했던 14명도 상정조차 되지 못했기 때문에 굉장히 불공정하고 형평성이 많이 떨어져 가능하지 못하다는 생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르재단의 대규모 모금 의혹에 대해서는 “저희도 일부 공감하는 부분이 있어서 여러 가지 채널을 통해 알아보니 그동안 대기업들이 미소금융이라든가 세월호, 천안함, 또 불우이웃돕기까지 각종 사회 기부금이 수백개 정도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아마 전경련에서 어떤 목표와 사업이 결정되면 기동성 있게 기금이 모금되는 전례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실질적으로 지금 우리 사회에 강제모금이나 어떤 억압에 의해 기금을 모금한다고 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상황들”이라고 일축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은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의혹을 덮고 넘어가면 결국 의혹이 또 다른 의혹을 낳고 의혹이 더 커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 의원은 이같이 말하며 “이 의혹을 밝히려면 800억원이 하루, 이틀 사이에 걷히고 오늘(10일) 박병원 경총 회장이 얘기했는데, 사용자단체 대표적인 회장이 문예기금 놔두고 따로 돈 걷는 건 기가 막힌 일이다, 포스코에서 30억 내는 것을 부결시키면 안 된다고 해서 못 시켰다고 했는데, 이같은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증인 채택을 둘러싼 여야 간 공방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증인을 채택하려고 하면 똑같은 조건에서 해야 하는데 뭐는 안 되고, 뭐는 되고 하면서 처음부터 안 되는 증인은 제외시켜놓고 증인 협상을 하니까 협상이 안 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증인 협상도 경중이 있는데 국민적 의혹이 있는 것이라면 그게 우선적으로 논의가 돼야 하는데 증인 채택 논의를 하려면 이건 얘기하면 안 된다는 식으로 하니까 결국 증인채택이 한 명도 안 됐다”며 “결국 국정감사 증인 채택 막으려고 결국에는 정부여당, 집권당이 국감을 보이콧 한 것 아닌가. 이건 사상 초유의 일”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교문위가 파행을 거듭하는 상황에 대해서는 “일단 증인채택이 전혀 안 되고 있는데, 그렇더라도 국정감사는 부족하고 모자라도 해야 한다”며 “집권여당이 국감을 보이콧하고 국감 거부하고 한 건 확실하게 국민들께서 판단해주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의혹을 밝힐 수 있으면 밝힐 수 있도록 최대한 우리 국회 차원에서 노력을 해야 한다”며 “남은 일주일 우리 국정감사, 우리 국민들이 걱정하지 않도록 아주 더 짧은 시간이지만 청와대 눈치 보지 말고 행정부, 청와대 경제하라는 우리 국정감사의 원 취지를 살려서 최선을 노력을 해야 되겠다, 민생을 해결하고 국민부담 덜어주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