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문재인 ‘명예퇴진’ 발언, 민심 제대로 읽지 못해”

“대통령 권력과 민심 충돌 상황 막아보고 싶다는 충정이겠지만 성급”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6-11-21 10:37:51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의 ‘박 대통령 명예 퇴진’ 발언을 두고 야권내에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같은 당 김부겸 의원이 “민심을 제대로 읽지 못한 얘기”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21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을 코너로 몰아서 대통령께서 이 상황에 대해 극단적 반응을 보이면 대통령의 권력과 민심이 거리에서 충돌하는 상황은 막아보고 싶다는 충정으로 들었지만 많은 사람들은 너무 성급했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는 촛불민심을 수용해야 하는데 정당이라든가 제도 정치권은 이 상황을 어떤 형태로든지 수습을 해 봐야 할 것이고, 수습책이 결국 어제 검찰 발표로 대통령의 위법행위가 명확히 드러났기 때문에 이건 어쩔 수 없이 누가 원하든 원치 않든 탄핵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제 혼란기에 접어들 수 있는데 그때를 대비해서 지난 번 대통령께서 국회에 요청한 대로 국회가 새 총리를 추천해서 그 분이 책임총리가 돼 국정 혼동을 안정시켜야 한다”며 “국민들에게 이 문제를 풀어가는 절차를 보여야 하고, 국민들이 거리에 나와서 외치게 할 수 없으니 그런 이야기에 대한 고민을 정리한 걸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그는 ‘탄핵이 가능하겠는가’라는 질문에 “그동안 현실적인 이유가 눈에 보이기 때문에 야권이 탄핵에 대해 주저하고 망설였는데 우선 국회에서 탄핵 발의가 되겠느냐고 했을 때 소위 (새누리당내)비박계라고 알려진 새누리당의 비상시국회의 팀들이 결국 30명 이상이 모이고 원외인사들, 자치단체장까지 합쳐서 80여명이 결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렇게 국회에서 탄핵 결의를 하게 되면 일종의 대통령 권한이 정지가 되면 나중에 헌재에서 결과가 어떻게 나올까와 관계없이 정치적인 중요한 의사결정 등이 달라질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헌법재판관들이 다들 자기 이름으로 자기 의견을 표시하게 돼 있는데 그때 가서 개인적인 일종의 호오(好惡)에 따라 탄핵 문제를 결정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