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박-비문 ‘제3지대’, 개헌으로 탄력?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6-11-28 14:51:03

정의화 "반기문과도 제3지대 논의 가능"
황영철 "정계개편 가능성, 상당히 높다"
천정배 "탄핵 이어 정치 변화 이끌어야"


▲ (사진제공=연합뉴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정의화 전 국회의장은 28일 자신이 주장하는 제3지대와 관련해 친박-친문 여야 패권세력을 제외한 반기문 유엔사무총장도 논의가능 대상이라고 밝혔다.


새누리당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 유승민 의원,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등도 논의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 전 의장은 이날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에서 "제가 그동안 생각[시민일보]하는 사람들은 나라가 이렇게 가선 안 된다, 새로운 국가대개조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동의를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친박·친문을 제외한 모든 이들과 손을 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개헌도 이뤄내고 내년 대선도 치러내서 2020년 5월 21대 국회의원 선거가 있다. 그것을 기점으로 새로운 대한민국이 출발할 수 있도록 내년 대선에 당선된 사람을 중심으로 임기를 단축시켜야 한다"며 "이 부분은 김종인 전 민주당 대표와도 뜻을 같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비박계 황영철 의원도 "상당히 그런 가능성이 높이 남아있다"며 정계개편 가능성에 힘을 실었다.



황 의원은 이날 YTN<신율의 출발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개헌 문제와 관련해 차기 대통령 선거, 차기 정부를 탄생시키는 데에 있어서 적어도 패권주의와 연결된 그런 세력들하고는 선을 달리해야 하지 않겠는가 하는 공감대가 상당 부분 형성돼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어 "적어도 이번 정기국회 안에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내기 위한 개헌 논의를 출발시켜야 한다"며 "그것의 출발은 국회 안에 개헌특위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런 요청을 야당에게도 진정성 있게 요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민의당에서도 개헌을 연결고리로 하는 정치변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안철수 대표는 촛불집회에 대해 “이제는 민주공화국을 붕괴시킨 부패 기득권 세력을 척결하고 정의의 국가를 만들자는 국민의 외침이었다"며 새누리당 친박계와 더불어민주당 친문계를 기득권 세력으로 규정하며 비난공세를 폈다.



안 전 대표는 전날 광주 조선대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과 새로운 대한민국'을 주제로 시국강연회를 열고 "어제도 느꼈다. 이것은 단순히 대통령을 바꾸자는 것이 아니었다. 국가를 바꾸자는 그런 외침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안 전 대표의 이 발언은 개헌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문 전 민주당 대표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됐다.



그간 안 전 대표는 박 대통령 하야와 탄핵이 우선이라며 개헌에 관한 입장 표명을 자제해왔지만 개헌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문 전 대표에 대해 각을 세우고 나섰다.



천정배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도 "11월은 6월항쟁 이후 29년만에 찾아온 시민혁명"이라며 "혁명으로 한국 사회의 확실한 도약을 이뤄낼 수 있는 기틀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 전 대표는 같은 날 오후 광주 한 워크숍에 참석해 '현 시국과 대한민국 새 틀 짜기'를 주제로 특강을 갖고 "박 대통령을 끌어내리는 데 그치는 혁명이 돼서는 안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독일식 정당명부제와 같은 비례성이 높은 선거제도 도입'과 '내각제 개헌'을 제안했다.



천 전 대표는 "이번 국정농단 사태로 폐해가 여실히 드러난 대통령 중심제를 의원내각제로 바꾸는 개헌을 검토·추진해야 한다"며 "한 사람의 지도자에게 큰 힘을 맡겨 국가를 이끌게 하는 시대는 지났다. 의원 내각제가 책임 정치의 원리에 맞다"고 강조했다.



이어 "내각제 개헌이 안 될 경우에는 분권형 대통령제도 괜찮다고 생각한다"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선거제도 개혁이다. 현 선거제도는 2위 이하의 후보에게 준 표는 '죽은 표'가 된다. 승자 독식구조로 민심이 왜곡되는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