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식 장관, “혼란 없이 역사 교육 진행될 수 있도록 고심”

“국ㆍ검정 혼용 등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해 고려하고 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6-11-29 10:05:04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교육부가 1년여 만에 국정교과서와 집필진을 공개했지만 ‘전문성’, ‘편향성’을 둘러싼 논란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준식 교육부장관은 29일 이같은 논란과 관련, “혼란 없이 학교 현장에서 역사 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고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일부 지역의 국ㆍ검정 혼용 방침에 대해 “교육부에서 중점을 두는 부분은 내년 3월 학기에 역사교육이 혼란없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면서 ‘국ㆍ검정 혼용도 완전 배제하지 않겠다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여러 가지 가능한 방안에 대해 고려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시ㆍ도 교육감님들과 협의를 해 나가고, 내용이 공개된 지 하루밖에 안 됐기 때문에 이 내용에 대해 충분히 이해를 하실 수 있도록 국민들께 설명을 드릴 예정”이라며 “반대하시는 이유가 국정이라는 발행체제 때문에 많이 반대하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 내용에 대해 충분히 검토해보시면 그 판단이 조금 달라질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또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들의 수정도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그렇다”며 “의견 등을 받아서 수정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저희가 최대한 노력을 해서 질 좋은 교과서를 만들었다고 생각하고, 또 균형적으로 만들기 위해 참 신경을 많이 써서 잘 만들었다고 하는 분들도 계신다”며 “12월23일까지 국민여러분들의 의견을 듣게 돼 있는데, 그 기간 동안에 충분히 이 내용에 대해 국민여러분들께서 이해하도록 설명을 드리고, 여러분들의 의견을 받아서 또 보완할 것이 있으면 보완해서 완성도를 높이면 이 내용에 대한 인식이 변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건국절’ 논란에 대해서는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후 국내ㆍ외 독립운동을 통한 광복을 쟁취하고, 1948년 정부 구상까지 전체 과정을 대한민국 수립으로 표현한 것”이라며 “이것은 건국의 특정 시기가 정해지는 게 아니라 이런 오랜 기간을 거쳐서 우리가 완성을 했다는 뜻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