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비박계, 야권공조 내부 파열음

31명 중 25명 여야협상 촉구...탄핵 국회처리 불발 가능성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6-12-02 08:00:00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탄핵을 위해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던 새누리당 비박 진영이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이후 야권공조 문제를 놓고 내부 균열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무조건 탄핵을 주장할 명분이 다소 약해졌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박 대통령이 자신의 거취를 국회 결정에 맡기겠다고 약속했는데도 야당이 협상 자체를 거부하면서 더 이상 비박계가 야권공조 목소리를 내기 어려워졌다는 지적이다.



한 비박계 의원은 1일 "지금 상황에서 여야가 협의도 하지 않고 무작정 탄핵을 추진한다면 보수층이 가만히 있겠느냐"며 "우리가 부담 없이 탄핵공조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할 야권이 오히려 공조발목을 잡고 있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동아일보가 전날 야권의 협상 거부 결정 이후 비박 진영 모임인 비상시국위원회 참여 의원 43명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문에 응답한 31명 중 탄핵안을 처리하기에 앞서 여야 협상을 촉구해야 한다는 의견이 25명(80.6%)으로 압도적이었다.



또 협상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탄핵안이 상정된다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질문에 △찬성 14명 △반대 2명 △판단 유보 및 무응답 15명이었다.



탄핵안 가결정족수(200명)를 맞추려면 야당 소속 의원들은 물론, 야권 성향 무소속, 새누리당을 탈당한 김용태 의원 등 172명에 28명이 더 필요한데, 이런 상태라면 새누리당 내 찬성표가 28명보다 적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또 박 대통령의 담화를 탄핵안 처리를 중단시키려는 꼼수라는 응답은 10명(32.3%)에 불과한 반면 15명(48.4%)은 임기 단축을 국회에 위임한 것이라며 진정성을 인정했다. 이 때문에 야당의 일정표대로 탄핵안을 처리해야 한다는 답변은 5명(16.1%)에 그친 것이다.



당초 비박 진영은 탄핵 찬성 의원이 40명을 넘었다고 공언했으나 기존에 탄핵 찬성 의견을 낸 비박 진영 의원 가운데 적지 않은 수가 결정 유보로 태도를 바꾸면서 탄핵안 가결은 불투명해지고 말았다.



한편 정진석 원내대표는 전날 의원총회에서 내년 4월 조기 퇴진-6월 조기 대선으로 대야 협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