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택, “비박, 당론 관철될 수 있도록 야당 압박해야”
“야3당 비박계 상대로 회유 시도할 것이 분명”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6-12-05 10:00:00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야3당이 2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을 국회에 제출한 것과 관련, 새누리당 친박계 정우택 의원이 “비박계에서는 당론이 관철될 수 있도록 야당을 강하게 압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3일 오전 PBC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지금은 여당이 당론을 정한 만큼 여야 합의를 거쳐 국회에서 빨리 퇴진 시기를, 앞으로의 일정을 정하는 게 순서”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야3당이 비박계를 상대로 회유를 시도할 것이 분명한데, 그렇기 때문에 우리 당론이 정해진 만큼 야당도 이것을 받든지 아니면 시기를 더 조정하는 협의에 임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이 모든 것을 내려놓고 국회 퇴진 일정을 위임한 만큼 최소한 당내에서는 탄핵 문제가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당연히 야당에서 회유한다고 넘어갈 여당 의원들도 아니지만 이런 회유 시도가 분명히 저쪽에서는 시도를 할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이럴 때 당론이 정해졌으니까 이것에 따라 시기를 협상하자는 걸 야당에게 강하게 압박해야 할 입장”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민심이 4월 말 퇴진을 받아 들이겠는가’라는 질문에 “광화문 민심에 나타난 것은 즉각 하야를 요청했던 것으로 아는데, 즉각 하야라고 하는 것은 성난 민심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해가 되지만 한가지 생각해야 될 것은 다음 대선”이라며 “대선이 안정적으로 잘 검증된 후보가 좋은 후보가 대통령이 됨으로써 다음 정권이 좋은 출발을 해야 하는 것도 당연한 것 아닌가”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 즉각 하야하면 60일내 선거를 치를 때 여러 가지 혼란이라든지 검증할 시간의 부족이라든지, 하다못해 실무적인 것이지만 선관위의 준비 등 문제가 있는데, 소위 국회의장을 비롯한 원로들도 4월 말 정도 선거하는 게 국민들이 선택하는 예측 가능성을 부여한다는 의미에서는 합리적이라는 제시를 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개헌’ 문제와 관련해서는 “대통령의 퇴진과 개헌은 전혀 별개”라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 담화문을 보면 자꾸 개헌과 연결시켜서 꼼수가 아니냐는 얘기를 하는데 임기 단축은 개헌과는 상관없이 국회에서 여야가 합의가 이뤄지면 퇴진 절차를 따르겠다고 했다”며 “여야 합의만 이뤄지면 개헌과 관계없이 그만두겠다는 것인데, 이것은 퇴진 문제와 별개의 문제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그러나 개헌 논의는 당연히 해야 한다. 지금 사태도 막강한 대통령의 권한에서 비롯됐다는 점을 감안할 때 개헌 논의는 멈춰서는 안 된다고 본다”며 “하루 빨리 개헌 논의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