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이창호 前 부산은행장 자택·주거지 압수수색
연합뉴스
| 2017-01-05 09:00:00
BNK금융그룹 엘시티 3800억 대출에 청탁 알선 의심
해운대 엘시티(LCT) 비리를 수사하는 검찰이 이장호(70) 전 부산은행장의 자택과 주거지를 압수수색했다. 검찰이 전직 부산은행장인 이 씨에 대한 강제수사에 들어감에 따라 부산은행이 앞장선 금융권의 엘시티 시행사에 대한 거액 대출과정에서 금품비리가 있었던 구체적인 혐의 단서를 검찰이 포착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부산지검 특수부(임관혁 부장검사)는 4일 오전 이 전 행장의 자택과 개인 사무실에 수사관들을 보내 압수수색을 벌였다.
검찰은 전직 부산은행장인 이 씨가 엘시티 시행사 실질 소유주 이영복(67·구속기소) 회장의 부탁을 받고 엘시티 시행사 측에 특혜성 대출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청탁하거나 알선한 것 아닌가 의심하고 있다.
부산은행의 지주사인 BNK금융그룹은 2015년 1월 엘시티 시행사에 3800억 원을 대출해줬다.
당시 엘시티 시행사는 군인공제회로부터 빌린 3450억 원의 이자도 갚지 못할 정도로 경영이 어려웠기 때문에 특혜성 대출이라는 논란이 일었다.
BNK금융그룹은 15개 금융기관으로 구성된 대주단이 2015년 9월 엘시티 시행사에 1조7800억원대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해주는 데도 앞장섰다.
BNK금융그룹은 2015년 계열사인 부산은행 8500억원, 경남은행 2500억원, BNK캐피탈 500억원 등 총 1조1500억원 규모의 PF약정을 엘시티 시행사와 맺었다.
이는 15개 금융기관이 참여한 1조7800억원 규모의 PF 약정 중 64.6%에 달하는 대출을 BNK금융그룹 계열사들이 책임지는 구조이다.
검찰 안팎에서는 검찰이 엘시티 사업과는 무관하게 이 씨의 계좌를 압수수색해 자금흐름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수상한 자금 흐름을 포착해 이날 전격적으로 압수수색을 한 것 아닌가 하는 분석도 나온다.
이씨는 2006∼2012년 부산은행장, 2011∼2013년 BNK금융그룹의 전신인 (주)BS금융지주 회장, 2013∼2015년 (주)BS금융지주 고문을 지냈다.
한편, 검찰은 엘시티 시행사의 법인카드로 수천만원을 쓴 혐의로 2차례 소환조사했던 정기룡 전 부산시장 경제특보를 5일 오전 10시 다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해운대 엘시티(LCT) 비리를 수사하는 검찰이 이장호(70) 전 부산은행장의 자택과 주거지를 압수수색했다. 검찰이 전직 부산은행장인 이 씨에 대한 강제수사에 들어감에 따라 부산은행이 앞장선 금융권의 엘시티 시행사에 대한 거액 대출과정에서 금품비리가 있었던 구체적인 혐의 단서를 검찰이 포착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부산지검 특수부(임관혁 부장검사)는 4일 오전 이 전 행장의 자택과 개인 사무실에 수사관들을 보내 압수수색을 벌였다.
검찰은 전직 부산은행장인 이 씨가 엘시티 시행사 실질 소유주 이영복(67·구속기소) 회장의 부탁을 받고 엘시티 시행사 측에 특혜성 대출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청탁하거나 알선한 것 아닌가 의심하고 있다.
부산은행의 지주사인 BNK금융그룹은 2015년 1월 엘시티 시행사에 3800억 원을 대출해줬다.
당시 엘시티 시행사는 군인공제회로부터 빌린 3450억 원의 이자도 갚지 못할 정도로 경영이 어려웠기 때문에 특혜성 대출이라는 논란이 일었다.
BNK금융그룹은 2015년 계열사인 부산은행 8500억원, 경남은행 2500억원, BNK캐피탈 500억원 등 총 1조1500억원 규모의 PF약정을 엘시티 시행사와 맺었다.
이는 15개 금융기관이 참여한 1조7800억원 규모의 PF 약정 중 64.6%에 달하는 대출을 BNK금융그룹 계열사들이 책임지는 구조이다.
검찰 안팎에서는 검찰이 엘시티 사업과는 무관하게 이 씨의 계좌를 압수수색해 자금흐름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수상한 자금 흐름을 포착해 이날 전격적으로 압수수색을 한 것 아닌가 하는 분석도 나온다.
이씨는 2006∼2012년 부산은행장, 2011∼2013년 BNK금융그룹의 전신인 (주)BS금융지주 회장, 2013∼2015년 (주)BS금융지주 고문을 지냈다.
한편, 검찰은 엘시티 시행사의 법인카드로 수천만원을 쓴 혐의로 2차례 소환조사했던 정기룡 전 부산시장 경제특보를 5일 오전 10시 다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