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된 고영태 녹취록을 보니...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7-02-15 12:33:03
고영태 등 사익 챙기기 시도 정황 드러나
김진태, "MBC 청문회는 야당의 보복성 언론탄압"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이른 바 '고영태 녹취 파일'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과정의 주요 변수로 떠오른 가운데 대화 내용 일부가 언론에 공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문제의 녹취록은 지난 2008년 당시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총선에 출마했던 이진동 TV조선 사회부장 선거를 도왔던 김수현 전 고원기획 대표가 주도한 전화 녹음, 2300여 개 중 일부다. 특히 특검은 지난 해 11월 압수수색을 통해 이 파일의 존재를 알고 있었으면서도 이를 밝히지 않았다.
지난 8일부터 연일 고영태 파일 내용을 다루고 있는 mbc 보도에 따르면 그동안 '최순실 사태'의 본질이 고씨를 비롯한 측근인사들의 치밀한 사전 계획에서 부터 진행됐다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한 정황들이 적지않다.
29개 녹취록에는 [고영]태 씨 지인들이 각종 인사에 개입하거나 이권 챙기기, 이번 사건을 언론에 공개하기 위해 모의한 과정 등이 담겨 있다. 특히 고 씨와 측근들은 각종 이권을 챙기기 위해 최순실씨 모르게 ‘예상’이라는 스포츠 행사 관련 대행업체를 별도로 설립하고 유상영 전 더블루K 부장을 실질적 대표로 앉힌 정황도 있다.
실제 녹음파일에는 K스포츠 재단 기부금을 더블루K와 예상으로 내려 보내 수익을 챙기자는 김수현 전 고원기획 대표의 발언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K스포츠 재단 관련 사업에 예상을 끼워넣어 수익을 챙기려한 거다.
박 대통령 측은 “이 녹음파일이 대통령은 순수한 의도였지만 최순실 씨와 주변인물들이 사익을 챙기려한 증거”라며 “[고영]태 씨 주변 인물들이 최순실 씨와 대통령을 속이고 이용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헌법재판소는 일단 전체 녹음파일 가운데 일부를 선별한 녹취록 29건을 증거로 채택한 상태다.
박 대통령 측은 나머지 2300여개의 녹취 파일에 대해서도 녹취 내용이 정리되는 대로 헌재에 증거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자유한국당 김진태 의원은 MBC 경영진에 대한 국회 청문회 결정에 대해 "고영태 녹음파일을 내보낸데 대한 보복"이라고 15일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야당이 위원장(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인천 부평을)인 국회 환노위가 날치기로 MBC를 청문회에 세웠다"며 언론 탄압 의혹을 주장하면서 이 같이 지적했다.
이어 "비로소 진실을 보도하기 시작한 MBC에서 우리는 희망을 본다"며 "(야당은)99개가 왼쪽으로 가는데 그 하나가 아직 오른쪽에 남아있는 꼴을 못 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애국시민들의 분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노조 활동을 이유로 징계성 인사발령을 내린 의혹을 명분으로 MBC 안광한 사장 등 경영진을 대상으로 청문회를 개최하기로 13일 의결했다. 이날 결정은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소속 의원들이 반발하는 가운데 환노위 재석 의원 13명 중 9명 찬성으로 통과됐다.
MBC는 지난 8일부터 매일 고영태 녹음 파일을 공개하며 최순실 사태의 본질이 다른 곳에서 시작됐다는 내용을 보도했다.
특히 MBC는 공개된 녹음파일이 헌법재판소에 제출된 만큼, 변론과 증거신청 일정이 변경될 가능성도 크다고 진단했다.
김진태, "MBC 청문회는 야당의 보복성 언론탄압"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이른 바 '고영태 녹취 파일'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과정의 주요 변수로 떠오른 가운데 대화 내용 일부가 언론에 공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문제의 녹취록은 지난 2008년 당시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총선에 출마했던 이진동 TV조선 사회부장 선거를 도왔던 김수현 전 고원기획 대표가 주도한 전화 녹음, 2300여 개 중 일부다. 특히 특검은 지난 해 11월 압수수색을 통해 이 파일의 존재를 알고 있었으면서도 이를 밝히지 않았다.
지난 8일부터 연일 고영태 파일 내용을 다루고 있는 mbc 보도에 따르면 그동안 '최순실 사태'의 본질이 고씨를 비롯한 측근인사들의 치밀한 사전 계획에서 부터 진행됐다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한 정황들이 적지않다.
29개 녹취록에는 [고영]태 씨 지인들이 각종 인사에 개입하거나 이권 챙기기, 이번 사건을 언론에 공개하기 위해 모의한 과정 등이 담겨 있다. 특히 고 씨와 측근들은 각종 이권을 챙기기 위해 최순실씨 모르게 ‘예상’이라는 스포츠 행사 관련 대행업체를 별도로 설립하고 유상영 전 더블루K 부장을 실질적 대표로 앉힌 정황도 있다.
실제 녹음파일에는 K스포츠 재단 기부금을 더블루K와 예상으로 내려 보내 수익을 챙기자는 김수현 전 고원기획 대표의 발언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K스포츠 재단 관련 사업에 예상을 끼워넣어 수익을 챙기려한 거다.
박 대통령 측은 “이 녹음파일이 대통령은 순수한 의도였지만 최순실 씨와 주변인물들이 사익을 챙기려한 증거”라며 “[고영]태 씨 주변 인물들이 최순실 씨와 대통령을 속이고 이용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헌법재판소는 일단 전체 녹음파일 가운데 일부를 선별한 녹취록 29건을 증거로 채택한 상태다.
박 대통령 측은 나머지 2300여개의 녹취 파일에 대해서도 녹취 내용이 정리되는 대로 헌재에 증거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자유한국당 김진태 의원은 MBC 경영진에 대한 국회 청문회 결정에 대해 "고영태 녹음파일을 내보낸데 대한 보복"이라고 15일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야당이 위원장(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인천 부평을)인 국회 환노위가 날치기로 MBC를 청문회에 세웠다"며 언론 탄압 의혹을 주장하면서 이 같이 지적했다.
이어 "비로소 진실을 보도하기 시작한 MBC에서 우리는 희망을 본다"며 "(야당은)99개가 왼쪽으로 가는데 그 하나가 아직 오른쪽에 남아있는 꼴을 못 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애국시민들의 분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노조 활동을 이유로 징계성 인사발령을 내린 의혹을 명분으로 MBC 안광한 사장 등 경영진을 대상으로 청문회를 개최하기로 13일 의결했다. 이날 결정은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소속 의원들이 반발하는 가운데 환노위 재석 의원 13명 중 9명 찬성으로 통과됐다.
MBC는 지난 8일부터 매일 고영태 녹음 파일을 공개하며 최순실 사태의 본질이 다른 곳에서 시작됐다는 내용을 보도했다.
특히 MBC는 공개된 녹음파일이 헌법재판소에 제출된 만큼, 변론과 증거신청 일정이 변경될 가능성도 크다고 진단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