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특검연장 무산 놓고 '네 탓' 공방...총리교체했다면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7-03-01 10:48:30
文 “'총리임명’ 논의했으면 탄핵 못했을 가능성도”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민주당과 국민의당이 지난해 황교안 총리를 교체하지 않아 특검 연장이 무산됐다는 민주당과 국민의당 공방에 양당 지도부와 대선주자들까지 직접 가[세하]는 모양새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1일 “지난해 연말, 탄핵정국에서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가 ‘국회 추천 총리를 먼저 임명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우리 당은 더불어민주당에 추천권까지 넘겼지만 당시 민주당 거부로 총리교체가 이뤄지지 않아 결국 특검연장이 무산됐다”고 지적했다.
손학규 전 대표도 "저는 탄핵 전 국무총리 교체를 주장했다. 여야합의로 국무총리를 임명해서 이러한 사태(특검연장 무산)를 미연에 막아야 한다고 호소했다"며 "그러나 민주당은 총리 임명 문제를 의도적으로 외면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나라를 바로 세우는 것보다 자신들의 권력획득을 먼저 생각하는 지극히 당리당략적인 결정이었다"면서 "이에 대해 민주당 지도부와 문재인 전 대표는 분명히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문 전 대표의 집권은 권력을 사유화한 제2의 박근혜 정부가 될 것”이라고 몰아세웠다.
그러자 민주당이 발끈하고 나섰다.
정진우 민주당 부대변인은 전날 논평을 통해 “당시 소위 ‘선총리 후탄핵’ 주장은 한 마디로 ‘탄핵 김빼기’ 주장이자 여권의 ‘탄핵전선 교란책동’에 놀아난 것”이라며 “지금 ‘선총리 후탄핵’을 하지 않아 특검 연장이 불발됐다는 식의 공세는 사실상 특검해체의 책임자인 황교안을 면책시켜주는 행위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문재인 책임론이 거론되는 것에 대해 “특정 대선 주자와 아무 상관없다”며 “남탓하지 말라”고 쏘아붙였다.
이에 대해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문재인 전 대표를 겨냥, "습관성 변명을 또 반복한다"고 꼬집었다.
박 대표는 "황교안 권한대행의 특검기간 연장 불승인 만행으로 국민의당과 제가 제안한 '선총리 후탄핵'이 불발된 것에 많은 분들이 안타까워하고 사실과 다른 해명에 분노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표는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당시 탄핵세력과 총리 흥정을 할 수는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박근혜 퇴진·탄핵을 맨 먼저 결정하고 추진한 것도 국민의당"이라며 "당시 거국중립내각 구성을 위해 총리를 먼저 선출하고 새 총리가 박근혜정부의 최순실·우병우 사단을 제거하는 인적청산을 한 뒤 검찰수사, 국정조사, 특검을 했다면 죄상이 만천하에 드러나 대통령은 탄핵되고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나아갈 기틀이 마련될 수 있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최소한 김병준 국무총리 지명자라도 임명됐다면 지금의 황 대행보다 100배는 나았다. 문 전 대표의 말씀대로 (先총리 임명을 안 해서) 지금 '혁명적 청소'가 됐느냐"고 따져 물었다.
그러면서 "추 대표도 말씀은 그렇게 하면서 왜 김무성 (당시 새누리당) 전 대표와 비밀회동을 했나. 책임이 있고 잘못 판단했으면 책임을 지고 사과하면 된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과거를 편한 대로 기억하고 왜곡하지 말라. 국민은 모든 것을 기억하고 평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도 "민주당의 책임론이다. 진실을 숨길 순 없다"고 가세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