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특수본 재가동··· 특검 난제 풀까? 朴대통령·우병우·대기업 뇌물 의혹 수사에 집중
이대우 기자
nice@siminilbo.co.kr | 2017-03-01 16:48:26
[시민일보=이대우 기자]‘최순실 게이트’ 특별수사본부(이하 특수본)가 부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일 검찰에 따르면 김수남 검찰총장은 특검팀이 3일까지 박근혜 대통령 뇌물 의혹 등 사건을 넘겨오면 서울중앙지검 특수본(본부장 이영렬)에 관련 사건 수사를 맡기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수본이 수사를 일단락해 특검에 넘겼지만 해체한 게 아니라서 다시 수사를 받아 이어가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판단이다.
특검법상 특검은 수사기간 이내에 수사를 끝내지 못하거나 기소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경우 3일 이내에 사건을 검찰로 인계해야 함으로, 검찰은특검이 수사 내용을 정리해 3일까지 넘기면 이를 검토해 팀 배정과 인력 배치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 밖에도 검찰은 ‘대기업 뇌물 의혹 수사’도 함께 진행하게 된다.
앞서 검찰은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금을 박 대통령과 최씨의 강요에 의한 것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특검팀은 삼성을 비롯한 대기업 가운데 일부는 경영권 승계·사면·면세점 인허가 등의 특혜를 기대하고 미르·K스포츠재단에 출연한 것이라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수사 규모는 특검을 거쳐오면서 수사 대상이 다소 축소됐다는 점에서 '2기 특수본'은 '1기 특수본'보다는 수사 인력 규모가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또 박 대통령 대면조사와 특검팀이 실패한 최대 난제인 우병우 전 수석 수사를 남겨두고 있어 남은 검찰의 수사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이달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결과에 따라 조기 대통령 선거가 치러질 가능성이 있는 등 수사를 둘러싼 정치적 지형이 변화무쌍하게 전개될 수 있다는 점도 향후 박 대통령과 우 전 수석, 대기업을 향한 검찰 수사의 방향과 속도에 영향을 끼칠것으로 보여진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