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前 대통령 '뇌물수수 의혹' 정조준
이진원
yjw@siminilbo.co.kr | 2017-03-17 10:00:00
檢, 김영태등 SK 최고위 임원 3명 소환
김창근, 최태원회장 사면청탁 의혹 부인
[시민일보=이진원 기자]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서울중앙지검장 이영렬)는 16일 SK그룹의 전·현직 최고위 임원 3명을 전격 소환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날 출석한 관계자는 김창근 전 SK수펙스축구협의회 의장과 김영태 전 커뮤니케이션위원장(부회장), 이형희 SK브로드밴드 대표이사 등이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이날 조사가 박근혜 전 대통령과 대기업 사이의 뇌물 수수혐의를 확인하기 위해서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김 전 의장은 이날 오전 9시45분께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도착해 박 전 대통령에게 최태원 회장 사면을 청탁했느냐는 기자의 물음에 “그랬겠느냐”며 의혹을 부인했다.
앞서 김 전 의장은 2015년 7월 당시 수감 중이던 최태원 SK 회장을 대신해 박 전 대통령을 독대한 바 있다.
두 사람이 청와대 인근 안가에서 단독 면담을 한 지 20여일이 지난 8월15일 최 회장은 재벌 총수 중 유일하게 광복절 특별사면·복권을 받아 출소했다.
SK그룹은 같은 해 11월 미르재단에 68억원을, 이듬해 2∼4월 K스포츠재단에 43억원을 각각 출연했다.
이날 김 전 의장에 조금 앞서 출석한 이 대표는 “검찰 조사에서 성실히 답하겠다”며 “사면 관련해 개입한 바가 없다”고 김 전 의장과 같은 주장을 했다.
앞서 이 대표는 2015년 SKT 부사장으로 있던 시절 청와대의 중소기업 제품 납품 주선 의혹과 관련해 안종범 전 정책조정수석으로부터 전화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날 함께 검찰에 소환된 김 전 부회장은 사면을 며칠 앞두고 교도소를 찾아가 사면과 관련한 언급을 최 회장에게 미리 귀띔한 의혹을 받고 있다.
앞서 특검이 확보한 녹취록에는 김 전 부회장은 “왕 회장이 귀국을 결정해 우리 짐도 많아졌다”며 “분명하게 숙제를 줬다”고 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왕 회장’은 박 대통령, ‘귀국’은 사면, ‘숙제’는 그 대가를 의미하는 은어 아니냐는 얘기가 나돌고 있는 상태다.
한편, SK측은 “면세점 특혜 등과 재단 출연 또는 추가 지원은 전혀 관련이 없다”며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김창근, 최태원회장 사면청탁 의혹 부인
[시민일보=이진원 기자]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서울중앙지검장 이영렬)는 16일 SK그룹의 전·현직 최고위 임원 3명을 전격 소환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날 출석한 관계자는 김창근 전 SK수펙스축구협의회 의장과 김영태 전 커뮤니케이션위원장(부회장), 이형희 SK브로드밴드 대표이사 등이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이날 조사가 박근혜 전 대통령과 대기업 사이의 뇌물 수수혐의를 확인하기 위해서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김 전 의장은 이날 오전 9시45분께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도착해 박 전 대통령에게 최태원 회장 사면을 청탁했느냐는 기자의 물음에 “그랬겠느냐”며 의혹을 부인했다.
앞서 김 전 의장은 2015년 7월 당시 수감 중이던 최태원 SK 회장을 대신해 박 전 대통령을 독대한 바 있다.
두 사람이 청와대 인근 안가에서 단독 면담을 한 지 20여일이 지난 8월15일 최 회장은 재벌 총수 중 유일하게 광복절 특별사면·복권을 받아 출소했다.
이날 김 전 의장에 조금 앞서 출석한 이 대표는 “검찰 조사에서 성실히 답하겠다”며 “사면 관련해 개입한 바가 없다”고 김 전 의장과 같은 주장을 했다.
앞서 이 대표는 2015년 SKT 부사장으로 있던 시절 청와대의 중소기업 제품 납품 주선 의혹과 관련해 안종범 전 정책조정수석으로부터 전화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날 함께 검찰에 소환된 김 전 부회장은 사면을 며칠 앞두고 교도소를 찾아가 사면과 관련한 언급을 최 회장에게 미리 귀띔한 의혹을 받고 있다.
앞서 특검이 확보한 녹취록에는 김 전 부회장은 “왕 회장이 귀국을 결정해 우리 짐도 많아졌다”며 “분명하게 숙제를 줬다”고 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왕 회장’은 박 대통령, ‘귀국’은 사면, ‘숙제’는 그 대가를 의미하는 은어 아니냐는 얘기가 나돌고 있는 상태다.
한편, SK측은 “면세점 특혜 등과 재단 출연 또는 추가 지원은 전혀 관련이 없다”며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