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최경락 경위 사건 재조사
이진원
yjw@siminilbo.co.kr | 2017-05-16 09:00:00
형 최낙기씨 “정윤회 문건 유출 안해” 재수사 진정
▲ 지난 14일 오전 故최경락 경위의 형 최낙기씨가 서울 종로구 서울지방경찰청에서 진정서를 접수한 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시민일보=이진원 기자]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2014년 정윤회 문건 유출 당사자로 지목된 후 스스로 목숨을 끊은 최경락 경위 사건을 재조사한다고 15일 밝혔다.
경찰당국은 최 경위의 형 최낙기씨가 경찰에 낸 재수사 진정을 배당받아 유족 등 관련자 조사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최씨는 지난달 14일 “동생의 억울한 죽음을 밝혀 명예를 회복해 달라”며 경찰에 진정을 냈다.
진정서에서 집중 주장하고 있는 내용이 최 경위가 문건을 유출하지 않았다는 내용인 만큼 경찰당국은 이 부분에 집중해 내사 착수 여부를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훈 서울지방경찰청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판결문과 징계의결서 등 자료를 수집해 내사할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진정인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관련된 사실이 추가로 나올 경우에는 정윤회 문건의 진위 여부 등도 같이 들여다 볼 수 있어 추가 내사 범위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기초자료 검토 중이라 지금 상황에서는 가능한 범죄 혐의나 당시 수사 검사 소환여부 등에 대해 말하기는 이르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윤회 문건 파문은 정씨가 박근혜 전 대통령 재임시절 이른바 ‘문고리 3인방’ 등 청와대 인사들과 수시로 만나 청와대와 정부의 동향을 파악했다는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의 조사 보고서를 2014년 11월 세계일보에서 보도하면서 불거졌다.
당시 검찰은 문서의 내용과 사실이 다르다고 결론 낸 뒤 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과 문건 작성자인 박관천 전 경정을 공무상 비밀누설 등의 혐의로 기소했다.
그런 중 문건 유출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은 최 경위가 청와대 민정수석실 회유를 시사하는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바 있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이전 정부 민정수석실이 왜 정윤회 건을 덮고 왜곡했는지 규명할 권리와 의무가 있다”며 자체 조사 방침을 밝히기도 했다.
경찰당국은 최 경위의 형 최낙기씨가 경찰에 낸 재수사 진정을 배당받아 유족 등 관련자 조사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최씨는 지난달 14일 “동생의 억울한 죽음을 밝혀 명예를 회복해 달라”며 경찰에 진정을 냈다.
진정서에서 집중 주장하고 있는 내용이 최 경위가 문건을 유출하지 않았다는 내용인 만큼 경찰당국은 이 부분에 집중해 내사 착수 여부를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훈 서울지방경찰청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판결문과 징계의결서 등 자료를 수집해 내사할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진정인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관련된 사실이 추가로 나올 경우에는 정윤회 문건의 진위 여부 등도 같이 들여다 볼 수 있어 추가 내사 범위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기초자료 검토 중이라 지금 상황에서는 가능한 범죄 혐의나 당시 수사 검사 소환여부 등에 대해 말하기는 이르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윤회 문건 파문은 정씨가 박근혜 전 대통령 재임시절 이른바 ‘문고리 3인방’ 등 청와대 인사들과 수시로 만나 청와대와 정부의 동향을 파악했다는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의 조사 보고서를 2014년 11월 세계일보에서 보도하면서 불거졌다.
당시 검찰은 문서의 내용과 사실이 다르다고 결론 낸 뒤 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과 문건 작성자인 박관천 전 경정을 공무상 비밀누설 등의 혐의로 기소했다.
그런 중 문건 유출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은 최 경위가 청와대 민정수석실 회유를 시사하는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바 있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이전 정부 민정수석실이 왜 정윤회 건을 덮고 왜곡했는지 규명할 권리와 의무가 있다”며 자체 조사 방침을 밝히기도 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