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걀이어… 경산 · 영천 산란계서도 DDT 성분 검출

박병상 기자

pbs@siminilbo.co.kr | 2017-08-23 17:00:00

농장 2곳서 기준치 초과 검출
道, 해당농가 계란 출하 금지
농장 과거 사과밭등으로 사용
방목 사육 과정서 축적 추정

▲ 23일 오후 경북 영천시 한 산란계 농장에서 관계자가 계란을 수거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안동=박병상 기자]경상북도 동물위생시험소는 경북 산란계 농장 2곳에서 달걀에 이어 닭에서도 ‘디클로로디페닐트라클로로에탄(DDT)’ 성분이 나왔다고 23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지난 21일 DDT 검출 달걀이 나온 경산시 소재 박 모씨 농장과 영천시 소재 이 모시 농장에서 키우는 닭 12마리를 조사한 결과 같은 성분이 검출됐다.

세부적으로 박씨 농장의 4마리 가운데 1마리는 DDT가 0.453㎎/㎏인 것으로, 이씨 농장 8마리 중 1마리도 0.41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잔류허용기준치(0.3㎎/㎏)를 초과한 수치다.

다만 도는 이씨 농장의 1마리에서는 DDT가 0.305㎎/㎏ 검출됐으나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반올림하는 기준으로 판단할 때 허용기준치 이하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 나머지 닭들에게서는 DDT가 0.050~0.236㎎/㎏ 나왔다. DDT 잔류 허용기준치는 ▲달걀 0.1㎎/㎏ ▲고기는 0.3㎎/㎏ 이하다.

도는 해당 농장 2곳의 닭과 계란의 출하를 금지하고, 매일 살충제 성분 검사를 하기로 결정했다.

동물위생시험소는 해당 닭의 근육 부위 등에 대해 추가로 검사하고 있으며, 농촌진흥청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해당 농장의 토양과 물, 사료에 대해 DDT 성분을 검사하고 있다.

특히 이 두 농장은 이전에 사과·복숭아밭이었던 곳으로 농장주들은 농장에서 닭을 자유롭게 풀어 키웠다.

이에 도는 닭이 오염된 흙에서 목욕하거나 먹이를 쪼아 먹는 과정에서 DDT가 축적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 농장주는 “그동안 DDT가 나온 줄 몰랐으니 노계를 외부에 팔아온 것은 상식 아니냐”며 “지금까지 농장을 운영하면서 DDT뿐만 아니라 살충제도 한 번 사용한 적 없다”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일 전국 683개 친환경 인증 농장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한 결과 영천·경산시 소재 친환경 농장 계란에서 DDT가 나왔다고 밝혔다.

다만 농장 2곳 달걀은 DDT가 나오긴 했으나 잔류 허용 기준치(0.1㎎/㎏) 이하였다. 이에 따라 농축산부는 농장 2곳을 친환경 인증에서 취소하지만 적합 농가로 분류한 바 있다.

DDT는 국내에서는 살충제로 무분별하게 쓰이다가 1979년부터 시판이 금지됐다. 특히 DDT는 인체에 흡수되면 암은 물론, 여러 이상증세를 일으키는 맹독성 물질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 관계자는 “두 농장처럼 예전에 DDT를 사용한 과수원에 닭을 풀어 키우면 닭이나 달걀에서 DDT가 나올 개연성은 있다”고 말했다.

한편 농식품 수입업계 등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6월부터 국내에 본격적으로 수입된 태국산 계란에서는 살충제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