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청, 여중생 폭행사건 TF팀 본격 가동
최성일 기자
csi346400@siminilbo.co.kr | 2017-09-13 14:52:42
학교 밖 청소년 관리 대책 협의
학교·법원·경찰·보호관찰 등과 네트워크 구축
[부산=최성일 기자] 부산시교육청이 최근 발생한 여중생 폭행사건과 관련해 관계기관 전문가들로 TF(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가동에 들어갔다.
13일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TF팀은 전날 첫 협의회를 갖고 이번 여중생 폭행사건이 야간시간대 학교 밖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학교 밖 청소년 관리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학교 밖 청소년들의 폭력예방을 위한 대책을 협의했다.
또한 학교내 위기학생들이 학업을 중단할 경우 학교 밖 청소년이 되고, 위기학생 대부분은 보호관찰대상 학생들로서 가정법원 운영의 책임교사에 의해 관리되므로 책임교사 역할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앞서 시교육청은 부산시교육청 서유미 부교육감을 위원장으로 천종호 판사(부산가정법원), 유관기관 관계자, 학부모, 교원 등 11명으로 TF팀을 구성한 상태다.
TF팀은 학교 밖 청소년 문제가 교육청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지역사회와 유관기관들과 함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구성됐다.
따라서 TF팀은 첫 협의회에서 앞으로 부산지역 책임교사 현황을 파악한 후 모든 학교에 책임교사 신청을 하도록 안내하기로 했다.
또 교육청과 학교, 법원, 경찰, 보호관찰소 등 관계기관이 위기학생 관리를 위한 실질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방침이다.
특히 각 기관이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과 시스템은 우수하나, 각 기관간 정보 공유와 연계가 부족해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이밖에 경찰청 117신고센터 홍보 강화와 청소년 유해업소 제한, 비행 및 학업중단 학생에 대한 정보 공유, 대안학교 SPO(학교전담경찰관) 추가 배치, 학교주변 우범지역 순찰 강화, 보호관찰학생 관리를 위한 기관 간 협조 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천 판사는 “가정법원의 학업복귀지원(Teen Story) 프로그램이나 통고제도, 보호소년 관리를 위한 책임교사제 등 우수한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으나, 현장 홍보와 관심 부족 등으로 활용도가 많이 떨어진다”고 강조했다.
학교·법원·경찰·보호관찰 등과 네트워크 구축
[부산=최성일 기자] 부산시교육청이 최근 발생한 여중생 폭행사건과 관련해 관계기관 전문가들로 TF(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가동에 들어갔다.
13일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TF팀은 전날 첫 협의회를 갖고 이번 여중생 폭행사건이 야간시간대 학교 밖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학교 밖 청소년 관리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학교 밖 청소년들의 폭력예방을 위한 대책을 협의했다.
또한 학교내 위기학생들이 학업을 중단할 경우 학교 밖 청소년이 되고, 위기학생 대부분은 보호관찰대상 학생들로서 가정법원 운영의 책임교사에 의해 관리되므로 책임교사 역할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앞서 시교육청은 부산시교육청 서유미 부교육감을 위원장으로 천종호 판사(부산가정법원), 유관기관 관계자, 학부모, 교원 등 11명으로 TF팀을 구성한 상태다.
TF팀은 학교 밖 청소년 문제가 교육청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지역사회와 유관기관들과 함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구성됐다.
따라서 TF팀은 첫 협의회에서 앞으로 부산지역 책임교사 현황을 파악한 후 모든 학교에 책임교사 신청을 하도록 안내하기로 했다.
또 교육청과 학교, 법원, 경찰, 보호관찰소 등 관계기관이 위기학생 관리를 위한 실질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방침이다.
특히 각 기관이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과 시스템은 우수하나, 각 기관간 정보 공유와 연계가 부족해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이밖에 경찰청 117신고센터 홍보 강화와 청소년 유해업소 제한, 비행 및 학업중단 학생에 대한 정보 공유, 대안학교 SPO(학교전담경찰관) 추가 배치, 학교주변 우범지역 순찰 강화, 보호관찰학생 관리를 위한 기관 간 협조 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천 판사는 “가정법원의 학업복귀지원(Teen Story) 프로그램이나 통고제도, 보호소년 관리를 위한 책임교사제 등 우수한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으나, 현장 홍보와 관심 부족 등으로 활용도가 많이 떨어진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