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협 “위안부 합의 무효화 공약 이행을”

이진원

yjw@siminilbo.co.kr | 2017-11-01 16:50:17

정대협, 유네스코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등재 보류’ 비판
정부 소극적 태도도 지적… 위안부 생존자 총 34명 남아

▲ 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주최로 열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서 참가자들이 손피켓을 들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시민일보=이진원 기자]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1일 서울 종로구 중학동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307차 수요시위'에서 유네스코의 '일본군 위안물 기록물 등재 보류 결정'을 비판하고 나섰다.

전날 유네스코는 한국·중국·일본·타이완 등 9개국이 공동신청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에 대해 '대화를 위한 등재 보류 권고'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이는 해당 기록물에 대한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막기 위해 일본 정부가 총력을 다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는 이날 오전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한 명이 별세했다는 소식을 전하며 "일본군이 위안부를 체계적으로 운영한 사실을 담은 기록물을 유네스코에 미래세대 기록으로 등재해달라고 신청했는데 보류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늘날 법정도 성폭력 피해자에게 '가해자와 대화하라'는 주문을 하지 않는데, 국제기구가 그런 결정을 내렸다"며 "체계적으로 성노예 범죄를 일으킨 증거와 피해자가 엄연히 존재하는데 그 역사를 지우려는 가해자와 대화를 하라고 한다"고 직격했다.

소녀상과 관련, 그는 "독일 라벤스부르크에 과거 여성 정치범수용소를 기억하는 박물관이 있다. 그곳에서는 작은 평화비 소녀상도 전시하고 있는데 일본 정부에서 최근 소녀상을 치우라고 요구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어 "미국 솔즈베리대학교에는 지난달 19일 소녀상을 제막하기로 약속이 돼 총장 결재는 물론 잔디밭에 터까지 만들어놨는데 일본 정부·우익이 집단 압박을 해서 무기한 연기됐다"고 덧붙였다.

윤 대표는 "이러한 일본 외교가 이뤄지고, 피해 할머니가 한 분씩 떠나시는 동안 한국 외교는 실종됐다"며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도 비판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가) 대선 공약으로 한일 위안부 합의 무효화를 약속하고도 검증이라는 명분하에 합의를 어찌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며 "오는 25일 '세계 여성폭력추방의 날'에 함께 모여 촛불을 들자"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한 명이 별세함에 따라 생존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는 총 34명으로 줄어들었다.

정대협에 따르면 이날 별세한 할머니는 17세 때 집에 있다가 구장과 순사가 '무조건 따라오라'고 해 겁을 먹은 채 영문도 모르고 끌려갔다가 태국·싱가포르·버마 등으로 끌려다니면서 큰 고통과 수모를 당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