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박주원 악재에도 통합행보 '뚜벅뚜벅'
12월 못박은 바른정당 시한...'통합원칙' 산으로 가나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7-12-11 08:00:00
특히 안 대표는 '박주원 사태‘와 관련, "통합과 별개의 사안"이라며 안 대표 등 통합파가 DJ를 겨냥했던 옛 한나라당 세력과 연결됐다는 공세를 경계했지만 10일 전남 목포 현장에서도 당원이 투척한 계란에 봉변을 당하는 등 방문지마다 공세를 당하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정치권 일각에서는 국민의당 분당이 현실화되는 게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현재로서는 양측 모두 당을 사수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연말을 전후로 양측 간의 극단적 충돌 양상이 전개될 경우, 친안계와 호남계가 각각 딴살림을 차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국민의당 당직자는 이날 박주원 문건 공개 배후와 관련, “십수년이 지난 문건이 하필 왜 이 시점에 불거졌는지 석연치 않다”며 “한두 번도 아니고 이번에는 예산 정국에서 주가를 올린 국민의당 세 확산을 두려워하는 모종의 음모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불만을 터트렸다.
특히 그는 “현재 시점에서 국민의당 분당 가능성을 거론하는 건 비약”이라며 “어떻게 해서든 중도통합을 통해 오는 지방선거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게 최선 아니겠는가”라고 일축했다.
그러나 통합 반대파인 '평화개혁연대'에 맞서 '친안'(친안철수) 진영에서도 원외 위원장들의 독자 세력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다만 평화개혁연대가 당내 39명 의원 중 원내교섭단체 구성 요건에 해당하는 최소 20명의 지역구 의원을 끌어 모을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되어 이목을 모으는 양상이다.
실제 박지원 의원은 평화개혁연대 참여 인원이 20명을 넘어섰고, 대다수가 참여할 것이라고 큰 소리쳤지만, 실제 분당을 각오하고 참여할 인원은 10명 안팎에 불과할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그러나 국민의당 모 의원은 “국민의당 의원 중 광주·전남·전북을 지역구로 둔 이는 23명에 이르지만, 이들 전부가 통합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호남파 신당이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하는 건 어렵다”고 지적했다.
특히 바른정당 내부에선 이번 사건이 통합 흐름을 막기 위한 정치적 의도가 깔린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바른정당 관계자는 "여권 입장에선 만만한 한국당 대신 중도-보수 신당이 등장하는 것을 경계하는 흐름이 다분하다"며 "민주당을 견제하고, 한국당을 궤멸시키기 위해서 통합론을 이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의도 정가에선 이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 시한이 임박한 것으로 보고있다.
특히 양당 간 통합이 12월로 '못박힌' 바른정당 내부일정에 원칙없이 산으로 갈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실제 국민의당의 경우 최후의 수단으로 비례대표 출당 등 당을 깨는 방안을 고민하라는 바른정당 의원들의 요구를 고려하고 있고, 바른정당도 최악의 경우 이른바 '박정천(박지원‧정동영‧천정배 의원)'의 퇴출 없이 통합을 추진하자는 국민의당 요구를 검토 중이라는 소리가 들린다.
바른정당 모 의원은 "예산 정국에서 호남에 쏠렸던 힘이 안 대표 쪽으로 이동하길 기대했지만 더 힘들어졌다"면서도 "결단의 시점은 오히려 빨라진 것 아니냐"고 말했다.
국민의당 한 의원도 “바른정당 유승민 대표가 자유한국당과 가까운 보수통합파 의원들과 결별했듯이 안 대표도 민주당과 가까운 중도통합반대파와 결별하는 과정을 겪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당 모 원외 위원장은 “우리로서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안정적으로 통합논의를 이어가는 게 훨씬 낫다. 그런데도 안대표가 통합 일정을 서두르는 건 바른정당 내부사정 때문”이라며 “금년 안에 통합이 성사되지 않으면 내부 이탈로 붕괴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바른정당 내부에 있는 게 사실”이라고 속내를 드러냈다.
그러면서 이런 식이라면 통합이후 예상치 못한 후유증에 시달리게 될 수 있다"고 경계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