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많았던 문 대통령 방중 성과 놓고 여야 엇갈린 평가
야3당, 일제히 외교실패 비판...강경화-노영민 경질 주장도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7-12-18 11:35:06
야3당은 18일에도 일제히 "정부 여당의 자화자찬이 지나치다"며 문 대통령의 이번 방중 외교 성과를 낙제점으로 평가하는 등 한 목소리로 비판을 이어갔다.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방중외교가) 역대급 수모를 당했다"며 "(문 대통령은) 중국에 가서 시진핑 주석의 비위를 맞추고 '혼밥'하기 외에 뭘 했는지 묻고 싶다"고 비판했다.
이어 "청와대는 큰 산을 넘었다고 했지만 큰 산은 고사하고 정말로 큰 한숨이 나온다"며 "낯 간지러운 자화자찬은 그만두고 외교 참사를 초래한 외교·안보 라인의 책임을 엄중히 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강경화 외교부 장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노영민 주중대사, 윤영찬 국민소통 수석은 짐 싸서 집에 갈 준비를 해야 할 것"이라고 질책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이날 오전 최고위회의에서 "성과에 대한 평가를 냉정히 해야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다"며 "내용과 형식 모두 낙제점"이라고 평가했다.
안 대표는 "한반도 비핵화와 남북관계 개선 등 4대 원칙 합의는 중국이 늘 하던 이야기를 한 것이고 무의미한 이야기에 한 줄 덧붙인 것"이라며 "대단한 합의가 이뤄진 걸로 얘기해도 믿는 사람이 없다"고 혹평했다.
이어 "연내 국빈 방문이란 방침을 정하고 시작한 대가"라며 "중국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미국으로부터는 의심받는 동네북 신세를 자초하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15일에는 "(강경화) 외교장관과 (노영민) 주중대사를 즉각 경질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안 대표는 "이번 사건은 향후 외교 일정을 중단해야 할 사항이라고 국민들은 생각한다"며 "정상회담 수행 취재 기자가 공안에 두들려 맞을 정도면 어떤 일을 할 수 있냐"고 개탄했다.
특히 정부 대표단의 현장 대응과 관련, "때린 사람은 중국 경호원은 아니고 공안이 고용한 사설 경호원이라고 해명하고 설명한 것이 거의 전부"라며 "맞은 사람들이 시설 좋은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고 홍보하며 덮자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는 특히 문대통령의 베이징대학교 특강에 대해 '친중 사대주의'라고 혹평했다.
유 대표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우리의 위치가 어딘가와 직결된 문제"라며 "미국은 시한부 제재와 군사적 옵션을 거론하며 북한을 압박하고 있는데 마치 한중이 함께 미국 입장을 비판하는 이런 모습을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반도 문제 평화적 해결을 위한 4대 원칙에 합의를 했다고 하는데 국제사회의 제재와 압박에 중국이 적극 동참하겠다는 표현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수석대변인은 앞서 "이번 방중 성과를 당리당략으로 접근하면서 국익에 해가 되는 발언마저 서슴지 않는 것은 유감"이라며 야당의 문제제기를 일축했다.
그러면서도 "지난 정부의 외교참사로 악화되던 대중 관계의 실타래를 풀어냈다는 점에서 어느 때보다 성공적인 결과를 거뒀다”고 평가를 달리했다.
특히 “무엇보다 한중관계의 발목을 잡던 사드 보복 철회를 공식화하고 경제협력의 틀을 복원했다”며 “한반도 평화와 안전을 위한 4대 원칙에 대한 합의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진전도 이뤄냈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